지난주 치의신보의 시론에서도 지적했듯이 약화사고를 방지하고 환자나 약사와의 분쟁소지를
최소화하기 위하여서는 치과진료시 사용되는 약물의 특성과 부작용, 약물상호작용 및
복약방법 등을 숙지할 필요가 있습니다.
작년 후반기 전국의 치과의원에서 의료보험에 청구한 약물은 국소마취제와 주사제를 포함,
2억4천7백4십8만단위에 이르렀으며 이를 성분명으로 분류하면 1백60종이 됩니다.
필자는 이와 같이 치과에서 사용된 약물들을 다시 ① 항생제와 화학요법제 ②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NSAIDs) ③ 항염증효소제 ④ 소화제 ⑤ 제산제 ⑥ 기타약물및
처방전 발행요령 등으로 나누어 그 성분과 상품명, 사용량과 적응증, 부작용과 전신작용,
약물간의 상호작용, 기본적인 복약상식 및 전반적인 사용상의 주의사항 등을 논하고 이를
향후 수회에 걸쳐 연재하고자 합니다. 따라서 본 특집에서 논의되는 약물은 예외없이 지난해
하반기에 단 한번이라도 치과에서 사용된 적이 있는 약품들이며, 약물 종류의 글머리엔
사용빈도 및 전반적 주의사항을 제시한 후 해당약물의 계열별로 설명이 이루어 졌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항생물질 및 화학요법제
※사용 빈도에 따른 순서
1.Metronidazole 및 Spiramycin (로도질,콤비팜,오라덴등)
2.Amoxicillin
3.Bacampicillin
4.Talampicillin
5.Acetylspiramycin
6.Midecamycin
7.Josamycin
8.Erythromycin
9.Ampicillin
10.Ofloxacin
11.Metampicillin
12.Doxycycline
13.Cephradine
14.Norfloxacin
15.Lincomycin
16.Clindamycin
17.Minocycline
18.Tetracycline
19.Cefadroxil monohydrate
20.Chloramphenicol
21.Ciclacillin
22.Cefaclor
23.Kanamycin
24.Gentamycin
25.Ribostamycin
26.Cefazolin sodium
27.Cephalexin
※항생제, 화학요법제의 공통된 부작용
1. 과민증(발진, 가려움증, 두드러기, 성문부종, 안면부종, 광선과민증,
스티븐스-존슨증후군(S-J 증후군(피부 점막안 증후군), 리엘 증후군(중독성 표피 괴사증)
2. 소화기 장애(구역질, 구토, 설사, 구내염, 설염, 위부불쾌감)
3. 위막성 대장염
4. 균교대증.(구내염, 칸디다에 의한 대장염)
5. 비타민 결핍증(Vit.K;출혈성 경향, Vit.B군;설염, 구내염, 식욕부진, 신경염)
6.혈액질환(과립구 감소증, 혈소판 감소증, 빈혈)
7. 중추신경 장애(두통, 어지러움, 불면, 악몽)
8. 경구 피임제의 효과감소(모든 항생제의 공통 부작용-다른 피임법의 모색을 요함)
9. 주사제로 사용하는경우 쇼크의 가능성이 있다.
※항생제의 복약지도 요점
1. 과민증 여부 확인
2. 병력확인(간질환,신장질환, 혈액질환,통풍, 당뇨병 등.)
3. 항생제의 중복투여 여부 확인
4. 연령별 주의 항생제 확인(치아변색의 가능성이 있는 연령이나 가임여성,수유부 등)
5. 경구용 피임약의 복용여부 확인
6. 근골격계의 부작용 가능성 검토
7. 광과민 반응(퀴놀론계의 항생물질)
8. 유효기간 확인(특히 테트라사이클린 계)
9. Macrolides 계의 항생제와 Astemizole(항진균제), Terfenadine(항히스타민제),
Cisapride(위장관운동 항진제), 계열 약과의 병용은 절대금기
10.절대금주
1. 페니실린계 항생물질
※페니실린계 항생물질의 작용기전은 세포의 특이적 수용체와 결합하여 세포벽 합성을
억제함으로써 살균작용을 나타내는것으로서 인체에 무해하고 대량요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일반감염증에 대부분 효과적이며 1~5%에서 과민증을 나타낸다. 그러나 최근 내성균이
증가하고 있다.
※페니실린계 항생물질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부작용
1. 과민증 2. 쇼크또는 아나필락시스 3. 중증의 신장애 4. 식도통과장애 5. S-J증후군 6. 빈혈
7. 무과립구증 8. 설염, 구내염 9. 설사, 오심, 구토 10. 위막성대장염 11. 균교대증 12.
비타민K및 B군 결핍야기 13. 신장애 14. 식도에 정류시 식도궤양 야기 15. 디설피람과
병용시 위험 16. 경구용 피임제, 항 응고제(Warfarin), 혈압약의 효과를 감소시킴
※페니실린계 약물의 혈중농도를 높이는 약물; Aspirin, H2 차단제(위산분비 억제제),
Probenecid, 설파제,스트렙토마이신.
※페니실린계 약물의 약효를 저하시키는 약물;클로람페니콜,네오마이신,테트라사이클린계의
항생물질, 린코마이신,제산제
※페니실린계 항생제의 복용상 주의점
1. 항생제 복용중에는 충분한 수분을 섭취한다.
2. Amoxicillin, Augmentin 을 제외하고는 식전에 충분한 물과 함께 복용
3. 오심, 구토, 설사가 나면 음식과 함께 복용
4. 복용을 잊은경우; bid인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