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 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 처방시 유의할 요점
1. 소염 진통제의 일시적인 약효로 감염증이 불현화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감염에 의한
염증에 사용할 경우, 적절한 항균제를 병용하고 신중한 예후관찰을 하여야 함.
2. 치과 치료전 진통제의 복용여부와 그 종류를 반드시 확인해야 하며, 혹시 어떤 종류의
약물에 부작용을 나타낸 적이 있는지 철저한 문진을 시행해야 됨.
3. 서로 다른 계열의 소염진통제를 병용하는 것은 가능한한 피해야 하며 특히 옥시캄류와
아스피린을 병용하는 것은 금기.
4. 살리실산류(아스피린,살살레이트 등)는 혈액응고를 지연시켜 발치 또는 치과 소수술후에
나타날수 있는 과다출혈의 원인이 될 수 있음에 유의.
5. 살리실산류는 또한 스테로이드 제제나 알콜과의 병용으로 위장관내 출혈을 일으키고,
혈당강하제나 인슐린의 약효를 증가시켜 저혈당을 초래할 수 있음.
6. 아세트아미노펜은 신장과 간장에 위해를 끼치며, 심장기능이상 환자에게 투여해서는 안됨.
특히 니트로글리세린을 투여한 협심증 환자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다.
7. 페닐초산류(디클로페낙,암페낙등)는 위궤양 환자(특히 노인)에게 절대금기.
8. 페닐초산류(특히 펜부펜)과 퀴놀론계 항생제를 병용하면 발작이나 경련을 야기할 수 있음.
9. 메페남산이나 옥시캄류, 인도메타신은 음식이나 제산제와 함께 복용함으로써 위장장애를
줄여야 함.
10. 메페남산(폰탈 등)은 충분한 물과함께 복용하고 복용후 30분간은 눕지 않도록 한다.
11. 인돌초산류(케토로락, 아세메타신)를 혈압강하제(ACE Inhibitor)와 병용하면 신손상의
위험이 있다.
12. 옥시캄류(피록시캄, 테녹시캄)는 위장장애를 일으키고, 골수기능을 억제시켜 재생불량성
빈혈을 야기할 수 있음.
13. 옥시캄류는 혈당강하제나 인슐린의 약효를 증강함으로써 저혈당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
으므로 당뇨환자에게 투여할때 주의 요망.
14. 프로피온산 유도약물(이부프로펜, 나프록센, 페노프로펜 등)은 소염제로써 가장 기초적인
약물이며, 비교적 부작용이 경미하고 소염, 진통, 해열작용을 동시에 나타내는 장점이 있다.
15. 피라졸론류(설피린등)는 소염진통 작용이 가장강한 고전적인 소염진통제 이지만
요산배설을 저하시키고 중대한 장기장애를 일으킬 위험이 있음.
3. 항염증 효소제(Antiinflammatory Enzymes)
※치과에서의 사용빈도에 따른 순서
1. Serratiopeptidase. 2. Semi-alkaline protease. 3. Pronase. 4. Bromelain. 5. Streptokinase.
6. Lysozyme. 7. Aescin. 8. Hippocastani ext.
1) 세라치오펩티다제(Serratiopeptidase)
※특성: 식물이나 토양, 또는 물에서 분리된 간균으로 부터 얻어지는 단백분해 효소.
펩타이드 결합을 가수분해 하는것을 촉매함으로써 Bradykinin 분해작용, 섬유소 용해작용,
점성농액 용해제거 작용을 한다. 그러나 체내에서의 작용기전중 아직 해명되지 않은 부분이
많고 용량과 효과의 관계도 반드시 분명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막연한 효과를 기대하고
투여하지는 않아야됨.
※주효능·효과: 방광염,부고환염,부비강염이나 지치주위염 등의 염증 및 종창완화의
목적으로 사용. 기관지염이나 기관지천식, 폐결핵 또는 마취 후의 객담용해 배출을 위해
적용.
※주의 부작용: 과민증상으로 발진, 발적, 설사, 식욕부진, 구역, 구토 등의 소화기 장애와
비출혈, 혈담 등의 출혈경향을 보일수 있음. 항혈액응고제의 작용을 증가시켜 출혈성
부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
용량: 1회 1~2정(5~10mg), 1일 3회 식후복용.
상품명: 단젠/한일. 메라젠/그락소웰컴. 아미타제/동광. 펩티다제/국제. 셀라치오/반도.
아나폴테/한영. 레피라제/삼아. 페티제/일화. 세로틴/안국. 유니타제/신동방메딕스.
셀치온/유나이트. 파마타/한국파마. 그라나제/대일화학. 세라티오펩티다제/한풍,신풍,고려은단.
2) 세미 알카린 프로테아제(Semi-alkaline protease)
※특성: 단백분해 효소로써 펩티다제의 특성이나 작용기전과 유사.
※주효능·효과: 수술 및 외상후의 염증과 부종의 완화.
※주의 부작용: 발진, 발적 등의 과민증상. 설사, 위통, 식욕부진, 위부불쾌감, 구역, 구토 등의
소화기 장애. 혈액응고에 이상이 있는 환자나 항혈액응고제를 투여중인 환자, 심한 간 또는
신질환 환자에게는 금기.
용법·용량: 성인1회 10~15mg을 1일 3~4회 매 식후 및 취침전 경구투여.
상품명: 아푸로제/동아제약. 로비프로제/태평양. 알카제/동성. 새로젠/안국. 세아프로제/동구,
광일. 세프로제/청해. 프로짐/신일. 아카프로/본초. 세파제/상아약품.
3) 프로나제(Pronase)
※특성: 단백분해 효소제로써 작용기전은 위에 설명한 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