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임상 치과재료학(39)
아말감 합금
고영무(조선치대 치과재료학 교수)

관리자 기자  2000.06.10 00:00:00

기사프린트

아말감은 150년 이상 사용되고 있으며 아말감 사용 빈도는 심미재료의 개발과 수은의 환경오염 문제로 인해서 점차 감소되는 추세이다. 반면에, 현재의 아말감 합금의 물성은 증진되었으며 사용하기가 매우 쉬워졌다. 고동 아말감 합금은 변연 파절이 적으며 초기 강도가 높고 부식 저항성이 우수하다. 수은이 함유되지 않은 아말감 합금이 개발되고 있으며 재사용이 가능한 캡슐과 새로운 혼화/분배법이 소개되고 있다. 아말감은 아직도 내구성이 가장 우수한 수복재 중의 하나이다. 혼합형 합금(Admixed alloys) ▶충전압에 대한 저항이 크다. ▶와동벽에 적합성이 좋다. ▶치간부 접촉성이 우수하다. ▶강도는 중간-높음이다. ▶구상형 합금보다 약하다. 구상형 합금(Spherical alloys) ▶혼합형 합금보다 수은 필요량이 10%정도 적다. ▶충전압에 대한 저항이 적다. ▶혼합형 합금보다 강도가 높다. ▶연마면이 평활하다. 임상적 고려사항 ▶상아질 접착제를 바르면 미세누출과 온도에 대한 민감성을 줄일 수 있다. ▶깊은 와동(치수로부터 0.5㎜이내)에만 수산화칼슘제재를 발라준다. ▶다발성 우식증이 있는 환자는 글래스 아이오노머 이장재/베이스를 해준다. ▶중등도 깊이의 와동에는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 베이스를 해주면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