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4일과 5일 양일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세계치과의사연맹(FDI) 학술위원회가 열려
「불소화와 치아우식증」에 대한 성명서 초안을 작성한 바 있다.
이 성명서 초안은 지난 8월 12일부터 14일까지 영국 런던에서 열린 FDI 이사회를 통과, 오는
11월 29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릴 예정인 FDI 총회A에서의 승인만을 남겨두고 있다. 이에
본지에서는 이 성명서 초안을 입수, 전문을 게재함으로써 불소화에 대한 세계치과의사연맹의
입장을 알리고자 한다.
<편집자 주>
◆위원회 구성
위원장:
Elmar Reich 교수, 獨
부위원장:
Newell Johnson 교수, 英
위원:
Asbj m Jokstad 교수, 노르웨이 Dan Meyer 박사, 美
Ricardo J. Parodi 박사, 아르헨티나
L. P. Samaranayake 교수, 홍콩
히데키 스다 교수, 日
G ran Koch 교수, 스웨덴
John Clarkson 교수, 아일랜드
Gennady Pakhomov 박사, 스위스
서론
치아우식증을 예방하는데 있어서 불소화의 효용성과 안전성에 관한 광범위한 연구는 50년이
넘게 전세계를 통해 지속적으로 수행돼 왔다. 불소화의 이용과 그 안전성에 대한 과학적
근거는 수많은 과학집단과 전문가 그룹과 정부 기관에 의해 받아들여져 왔다. 불소화 이용은
치아우식증 발생률을 감소시켜 왔으며 수백만 사람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불소화가 어떻게 우식증을 방지하는가
치아우식증의 예방에 있어서 불소화의 역할에 대한 최초의 연구는 상수도에 불소를 넣었을
때의 작용방식과 농도에 관련돼 있었다. 불소화의 유익한 효과는 치아 형성기에 법랑질을
단단하게 해주는 등 전신적 효과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간주됐다.
낮은 농도의 불소가 존재하면 脫鹽(탈염)을 방해하고 치아우식증이 발생하는 동안
치아법랑질의 재광화를 촉진시키기 때문에 구강내 불소화의 적절한 수준에 대한 끊임없는
공급이 가장 중요한 요인임이 명확해 졌다.
이러한 발견들은 불소 사용이 예방, 혹은 치료기전으로서 받아들여짐으로써 매우 중요하다.
불소의 원칙적 적용, 혹은 어떤 방식으로든 구강 내에 적절한 농도의 불소가 존재하는 것이
치아우식증을 예방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명확해 졌다.
여러 가지 불소공급법
◆상수도 불소화(Fluoridation of water supplies)
상수도 불소화는 치아우식증의 예방과 치료에 있어서 가장 효과적인 공중보건대책이다. 이는
물이 늘 섭취해야 하는 음식물이며 모든 사람들에 의해 사용되고, 따라서 지역사회 내의
모든 구성원에게 이득이 된다는 점에서 기인한다. 상수도 불소화의 유일한 한계는 거의
대부분 중앙에서 공급되는 상수도가 믿을 만하고 제어가 가능한가 하는 점이다.
상수도수를 공급받는 인구 혹은 지리적 지역을 위한 가장 적절한 물의 불소 농도를 결정하기
위해 다른 방법을 통한 불소의 효용성을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권장하고 있는 물의
불소농도는 우선 기후에 따라 영향받을 수 있는 물 소비량에 달려있다. 아울러 지역적
문화습관이나 식습관 등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불소화 소금(Fluoridated salt)
소금 섭취를 통한 불소 조제는 지역적 상황이 상수도 불소화에 적합치 않은 곳에서 선택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다. 많은 연구들이 치아우식증을 감소시키는데 있어서 소금 불소법의
효과를 드러내는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내고 있다. 특정한 나라나 지리적 지역을 위한 불소
소금 제품은 제어된 제품을 안전하게 하기 위한 강력한 기술적 지원이 집중되어야 한다.
소금에서의 불소 농도는 소금 섭취와 다른 불소법의 유용성에 대한 연구에 바탕을 두어야
한다. 불소 농도는 소금 포장지에 표시해야 한다.
◆불소 우유(Fluoridated milk)
불소 우유는 특히 학교 보건프로그램을 통한 어린아이들을 위한 불소법이다. 몇몇 연구가
불소 우유법이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내놓았다. 그러나 공중보건법으로서는 제한적이다.
◆불소 함유 치약(Fluoride-Containing Dentifrices)
현재 사용되고 있는 모든 불소법중 불소 치약은 가장 포괄적인 실험을 하는 테마이다.
광범위한 잘 통제된 연구가 수행돼 왔고 거의 모든 연구는 치아우식증을 상당 정도
감소시켜서 구강보건을 매우 향상시켰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불소 치약은 그러므로 가장
중요한 공중보건법이며 사용 영역을 넓히려는 노력은 계속돼야 한다.
어린아이들이 과도한 양의 치약을 삼키는 것은 매우 경미한 치아불소증이나 법랑질 연마를
일으키기도 한다. 이러한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어린이들이 치약을 삼키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세계 어느 지역에서는 특별히 어린이들을 위해 저농도의 불소 치약(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