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특정약국 지정 권유 빈발
“병원서 권고 있었다” 12.3%

관리자 기자  2000.11.18 00:00:00

기사프린트

의료개혁시민연합 5백28명 대상조사
의료개혁 시민연합과 경기지역 YWCA 및 YMCA는 함께 지난 1일 부터 3일까지 서울을 비롯한 안산, 군포등 11개 수도권지역을 대상으로 의약간 담합가능성 및 대체조제 실태, 끼워팔기 실태에 대한 조사를 벌였다. 조사의 방식은 의료기관 진료후 처방전을 발행 받아 약국을 방문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문전약국 및 대형약국을 중심으로 진행됐다. 총 응답자 528명중 65명인 12.3%가 의료기관에서 약처방전을 주면서 특정 약국을 지칭하여 가도록 권유 받았다고 응답하고 있으며 이중 의료기관에서 권고한 약국을 방문한 경우는 41명으로 82%였다. 대체조제에 대해서는 응답한 사람 5백28명중 5.2%인 27명이 대체조제에 대한 권유를 받았으며 이중 15명이 대체조제에 응한 것으로 조사되어 실제 대체조제한 경우는 2.9%선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약사가 소비자에게 알리거나 동의를 구하지 않고 임의로 대체조제한 경우에 대한 조사가 되지 않아 조사의 한계가 있었다. 의약분업 전후 본인부담금의 상승에 대한 불만의 소리도 높다. 본인이 부담해야 할 금액이 2배정도 올랐다고 대답한 경우가 52%로서 의약분업 전후 동일한 질환으로 진료와 투약을 받았을 경우 비용부담의 증가여부에 대해 2배정도 상승했다고 답하고 있다. 별 차이 없다는 경우도 40%로 나타났다. 지엽적이기는 하나 비용부담의 또 하나의 원인은 시간의 문제일 수 있다. 진료접수를 오후6시이후에 한 경우는 진료를 받은 사람의 4.7%이고, 약국을 방문한 시간이 오후6시 이후인 경우는 7.2%로 약 2.5%가 오후 6시 이전 진료 후 6시 이후 약국을 방문했다. 실제 의약분업의 구체적인 시행방법에 대한 대국민 교육이나 홍보가 아직도 미진한 부분이 많아 6시이후 약국에서 비용이 가산된다는 사실을 알지 못해 처방전을 미리 받고도 저녁시간에 약국을 방문하고 비용이 더 많이 나오는 것에 대해 항의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번 조사는 녹색소비자 연대(http://www.gcn.or.kr/)의 모니터 결과를 토대로 했다. <이진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