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치과위생사 역할찾기>
치과위생사의 역할과 업무(9)

관리자 기자  2002.10.07 00:00:00

기사프린트

기구 및 장비관리 고가 기구 수명연장 위해선 세척등 사후 관리 철저해야 진료실에서 사용하는 모든 기구는 날이 생명이므로 사용한 것이라도 잘 다루어야 하며, 기구 세척시나 기구 소독후 보관 등의 과정 중에도 날이 상하지 않도록 취급을 잘해야 한다. 기구끼리 부딪치거나 취급 부주의로 인하여 떨어져 날이 상하여 사용하지 못하게 하여서는 안 된다. 사용한 기구를 오랫동안 방치하면 피나 타액 등이 기구에 말라붙거나 세균의 공기 전염이 되므로 오염된 기구는 가능한 한 사용 후 바로 세척 전 용액에 담가두었다가 세척하면 빠른 시간내에 세균을 죽일 수 있으며 혈액 등으로 오염된 기구를 환자에게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잘 세척하지 않고 소독하면 날이 부식되므로 기구의 세척이 중요하다. 주로 환자의 구강내의 치료한 기구나 장비를 관리해야 하므로 개인 위생에도 관심을 가지고 기구의 날에 찔리거나 환자의 병력에 주의하지 않고 기구을 취급하지 않도록 한다. 모든 기구와 장비는 항상 소독 유무를 치과위생사는 확인하여 무소독된 상태에서 진료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기구나 소독품, 장비, 핸드피스 등을 진료 시작전에 점검해야 한다. 소독기관리는 Autoclave경우 매일 증류수가 저장탱크에 있나 확인하고 tray와 chamber 내면을 물과 세제로 닦아주고, Chemiclave의 경우는 화학제에 의해 소독이 되므로 chamber내면이 부식되지 않도록 사용후에는 닦아준다. Unit chair는 bracket 위치가 벽, mobile cabinet 등에 접촉되지 않도록 chair 본체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보며, 진료 종료시에는 chair를 내린 후 main switch를 끄고 light 등은 제자리에 놓는다. patient chair나 dental stool은 매일 혹은 필요할 때 특정한 유액이나 약한 비눗물로 청소하여 항상 청결함을 유지하도록 한다. 타구는 막히지 않도록 자주 청소해야 하며 치료 후에는 alcohol sponge로 tray위, air-water syring, angle 등에 묻은 혈액과 오물을 잘 닦아 소독 상태를 유지한다. 기구나 장비에 대한 취급법을 숙지하여 관리하도록 하며 치과병(의)원에서 사용하는 기구와 장비는 대부분이 고가이므로 기구와 장비를 어떻게 관리하느냐에 따라 최대한의 수명연장을 할 수 있으므로 귀중품을 다루듯이 해야한다. 이근우 연세치대 보철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