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독품 관리
오염방지 위해 소독포 위로
손이 가지 않도록 주의해야
많은 시간과 인력으로 하나 하나의 모든 기구와 물품 등을 세척하고 포장한 멸균 소독품의 관리는 환자의 질 높은 서비스를 위하여 치과위생사가 행해야 하는 주 업무 중에 하나이므로 소독품이나 기구들을 부소독된 상태에서 환자의 진료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최소한 하루전에는 항상 점검하고 파악하여 환자의 진료에 차질이 없도록 한다.
소독품을 다루는 작업부위는 허리 수준보다 높아야 하며 바닥은 건조하고 주위에 다른 물품이 없고 깨끗한 곳이어야 한다. 기구는 소독된 tray에 기구별로 배열하여 사용하거나 진료내용에 따라 set화하여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물품이나 기구를 운반할 때 부소독시키지 않도록 한다. 기구를 전달할 때는 master pincette으로 운반하고 소독된 포위에 끝이 바닥에 닿지 않도록 가볍게 놓아 소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소독된 물품을 운반시에는 어디에 스치거나 부소독 여부를 관찰해야 하므로 반드시 눈으로 볼 수 있게 한다.
소독포 사용은 무균 지역을 확보해 주고 오염을 방지해야 하므로 소독포 위로 손이 가지 않도록 주의하며 술자의 복장도 소독포에 닿아 부소독 되지 않도록 한다. 포장된 기구를 추가로 준비해야 할 경우는 끝부분만 열고 소독품 위나 사용하기 편하도록 술자에게 직접 전달한다.
전염성 질환을 가진 환자인 경우는 진료 준비전, 후에 직원의 감염예방을 위하여 기구에 찔리거나 오염원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분리 소독하도록 한다.
소독품 보관은 오염의 우려가 없는 유리문이 달린 장에 보관하며 소독 날짜가 오래된 소독품을 먼저 사용하도록 한다. 보관일은 물품의 내용에 따라 다르며 약 1개월 가량 기간이 지난 소독품은 재소독을 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cotton, linen제품은 습기가 없는 곳에 보관하고 보관장은 월2회 75%알콜로 닦은 다음 건조시키고 소독품을 보관한다. 적어도 1개월에 한번은 전체기구와 tray, 소독품을 소독하여 사용해야 한다.
관리 소홀이나 잘못 취급하여 부소독된 상태로 소독품을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병(의)원에서 근무하는 모든 직원들은자기에게 정직하여 의료서비스 향상에 기여하도록 해야 한다.
이근우 연세치대 보철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