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서비스는 고객인 환자와의 관계에서 접점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모든 직원이 하나가 되어 고객을 위하여 환자에 대한 따뜻한 말 한마디와 친절한 태도로 그들의 요구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그러나 모든 직원이 다 환자에 대한 서비스 개선을 할 수는 없으므로 환자가 편안하게 병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진료 예약과 상담, 사후 관리에서 더 나아가 병원이미지 개선과 수익 증대에도 기여할 경쟁력 있는 경영을 위하여 코디네이터의 역할이 필요하다.
의료시장의 개방에 따른 환자중심의 새로운 병원서비스로 변화되어야 급변하는 의료시장에 대처할 수 있으므로 의료공급자의 입장에서가 아니라 환자의 입장에서 응대하고 진료가 시행되며 진료예약이 이루어져야 한다.
환자의 눈높이에 알맞게 상담해 주고 치료의 전 과정에 대하여 설계를 해 주어 진료에 대한 불안감을 제거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치과위생사 코디네이터가 인정을 받고 의료서비스를 향상시키는 가교의 역할을 하려면 고객과 경영자의 입장에서 접근해야 하며 병(의)원의 코디네이터의 역할을 보면, 리셉션 코디네이터는 전화와 환자의 응대만 하는 것이 아니라 대기실 분위기를 포함하여 리셉션에 관계되는 첫 접점을 담당하는 얼굴이므로 환자를 잘 맞이하여 병(의)원을 나설 때까지 응대하여 친근한 이미지를 갖도록 한다.
치료 코디네이터는 진료실내의 조정자이며 치과의사와 치과위생사가 치료에 전념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허점과 실수를 예방하거나, 신속히 개선하도록 해야하는데 이는 경험이 풍부한 치과위생사가 맡아야 문제를 사전에 막을 수 있다.
서비스 코디네이터는 병원에서 필요한 서비스에 관련된 모든 일을 하는데 진료 팀 모두가 치료와 상담으로 바쁘게 돌아가고 있는 상황에 빠뜨릴 수 있는 모든 서비스를 담당해야 한다.
코디네이터 분야가 더욱 전문화, 세분화되는 경향이 있지만 병원서비스의 리더로서 확실하게 자리 매김하기 위해서는 무슨 일이든 나서서 처리할 수 있는 긍정적 사고와 활달한 성향이 필요하고 찾아온 고객의 마음을 읽어낼 줄 아는 센스가 필요하다. 그리고 자신의 일에 대한 자부심과 프로의식이 요구된다.
연세치대 보철과 이근우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