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년 들어 10월, 11월에는 외국인의 누적적인 순매수를 기록하는 양상을 보였다. 많은 이들이 확인하고 싶어하는 심리적 지지선인 700p도 넘어서고 이제는 여기저기서 변함없이 1,000p의 희망이 속속들이 출현하기 시작했다.
2∼3개월전 배당관련주에 주목하자는 필자의 의지대로 최근 실적 우수한 배당주들의 가격 또한 꾸준히 상승하는 모습도 보여진다. 이런 작금의 상황에서 주식형 상품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필요하리라 생각되며, 각 펀드의 모양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때이다.
1. 자산관리형 펀드
일정수익률을 달성했을 때 다른 펀드로 전환하거나 환매되는 전환형펀드나 엄브랠러펀드로 고객이 직접 수익을 관리할 수 있는 펀드.
2. 인덱스 펀드
코스피200과 코스닥50등을 벤치 마크하는 인덱스지수와 동일한 수익률을 거둘 수 있도록 포트폴리오를 구성해 운용하는 상품으로 주가 하락기엔 손실이 불가피하지만 주가상승기에는 일반 펀드보다 높은 수익률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격적인 주가 상승기에는 인덱스 펀드에 관심을 기울여 볼만하다.
3. 성장형, 안정성장형, 안정형펀드
60%이상의 주식을 편입하는 것이 성장형 펀드이며, 안정성장형은 약 30%이내, 안정형 펀드는 10%이내가 일반적이다. 성장형 펀드는 안정성장형과 안정형보다 공격적이며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을 상징할 수 있는 대표적 펀드라 할 수 있다.
4. 공모주 펀드
자산 중 일정 부분을 공모주에 투자해 일정 수익을 확보하는 상품으로 개인투자자들이 모주에 직접 투자하는 번거로움을 덜어 줄 뿐 아니라 공모주 특유의 수익성을 기본으로 초과 수익도 올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5. 원금보전형 펀드
할인채 등 채권에 60∼80% 이상을 투자해 펀드 만기시 원금을 보장하고 주가지수 선물이나 옵션에 투자해 초과 수익을 얻을 수 있는 펀드. 원금을 보전할 수 있어 원금손실에 대한 염려는 적을 수 있으나, 낮은 금리의 할인채 이자로 파생상품에 운용되므로 높은 수익률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6. 스팟 펀드
투자자가 정한 일정한 목표 수익률을 달성하면 환매수수료 없이 조기에 상환할 수 있는 단기 고수익을 겨냥한 펀드
7. 차익거래 펀드
현물과 선물간 가격차이를 이용해 현물과 선물에 투자해 차익거래를 통해 가격차이 만큼의 무위험 수익을 확보하는 상품으로 동일한 상품의 가격 차이가 발생할 때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상품을 매입함과 동시에 고평가된 상품을 매도함으로써 동상품간의 가격괴리만큼의 무위험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임.
한미은행 압구정 로얄센터 팀장
trust1@goodbank.com/02-511-4993
※ 이 칼럼은 격주로 연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