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청 조사 결과 중소기업들은 중장기적이며 우선적인 정책방향으로 인력정책과 기술개발정책을 가장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청과 중소기업연구원은 지난해 12월 10일부터 16일까지 일주일간 국내 2000여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인터넷을 통한 바람직한 중소기업정책 방향에 관한 중소기업들의 의견수렴조사를 실시, 이중 응답한 384개사에 대한 분석 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이번 조사결과에 따르면 인력부족 해소를 위해 중소기업근로자에 대한 세제혜택부여(25.8%)와 업무환경 및 후생복리사업 지원확대(21.2%)를 요구했으며, 기술개발정책은 기술개발자금지원 확대·지원조건개선(30.2%)과 기술력 기업의 집중육성(24.4%)을 희망했다. 또 자금지원정책 중 강화하여야 할 부문으로는 정책자금규모확대(21.4%), 지원조건·절차개선(18.0%)과 지방중소기업지원확대(18.0%)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판로·유통정책 중 중점 추진부문으로 시설·경영현대화 및 정보화 촉진(21.8%), 조직화·협업화 등 구조개선촉진(17.2%) 등으로 나타났으며 수출정책은 해외진출 인프라구축(39.9%), 무역금융지원강화(21.7%) 등으로 나타났다.벤처기업정책으로는 정부차원 벤처정책 조기종료(31.1%), 코스닥시장 재정비 및 활성화(13.7%), 창업기업 지원강화(11.7%) 순으로 응답하였으며 소기업·소상공인정책의 중점부문은 생산성향상지원(29.7%), 소기업형 경영모델 개발·보급(19.2%), 소상공인지원센터 확대·내실화(18.8%)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세제정책은 법인세·소득세 등의 세율인하(26.3%), 시설투자 세액감면 확대(18.7%) 등을 우선시 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소기업청 관계자는 “이번 조사 내용을 계기로 향후 중소기업 정책을 마련하는데 좋은 자료가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신경철 기자 skc0581@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