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치무이사
연석회의 성료
일선에서 치무사업을 주도적으로 이끌어 나가고 있는 전국 치무이사들이 한자리에 모여 구강검진에 대한 개선방안과 의료시장 개방에 대비한 치과계의 대책을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지난 8일 힐튼호텔 3층에서 열린 전국 치무이사 연석회의에서 李丙峻(이병준) 치협 치무이사와 지부 치무이사들은 구강검진과 관련된 지부의 입장과 개선책 등을 함께 논의하는 시간을 갖는 등 치협과 지부의 유기적인 협조방안을 모색했다.
이날 회의에서 참석자들은 구강검진을 현실화하기 위한 활발한 의견을 개진했으며 의사들의 건강검진과 독립적으로 분리돼 실시돼야 한다는 주장과 문제점이 많은만큼 차라리 구강검진제도를 없애자는 주장이 나오기도 했다.
충남지부 이왕재 이사는 “같은 건물에 위치한 병원과 함께 검진을 나갔음에도 구강검진비를 이 병원 사무장에게 받기도해 부속치과로 인식되는 등 불합리한 점이 많다”며 “구강검진비를 의과와 독립화시키는게 어떠냐”고 제안했다.
강원지부 강진 치무이사는 “지부이사회에서 반나절동안 논의 끝에 내린 결론도 의사들과 분리해 실시하는 것이었다”며 “구강검진을 없애자는 주장도 심도있게 논의하자”고 주장했다.
반면 경기지부 김창현 이사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지만 전국민을 대상으로한 구강검진은 지속돼야 한다”며 “치과의사라면 누구나 검진을 나갈 수 있는 구강검진담당치과의사제도를 만들자”고 제안했다
이와관련 李丙峻(이병준) 치협 치무이사는 “어떤 마인드를 갖고 이 제도를 실시하느냐에 따라 입장이 달라진다”며 “치협에서도 더 노력해 나갈 것이고 지부에서도 지역공단을 통해 개선사항을 건의하는 등 함께 풀어나가자”고 독려했다.
李 치협 치무이사는 이날 회의에서 WTO DDA 협상과 관련된 대략적인 설명과 그동안 진행된 회무보고, 중국의 양허요구안에 대한 설명, 치협의 양허안에 대해 설명하는 시간도 가졌다.
이밖에 이날 회의에서는 치과보조인력 문제, 노인의치사업과 실란트 사업 등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눴으며 치과의사 출신 김형규 의료컨설턴트로부터 의료시장 개방에 따른 치협의 대응전략에 대한 특별강연을 통해 급변하고 있는 의료계의 변화에 대비하기 위한 대응전략을 고민하는 시간도 가졌다.
이윤복 기자 bok@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