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저소득 노인틀니 확대 찬성
치과계 주요인사 “우리가 할 일”

관리자 기자  2003.05.19 00:00:00

기사프린트

추진 아이디어 제공 잇따라 대의원 총회의장, 지부회장 등 치과계 오피니언 리더들은 정부로부터 40만원 이하의 생활비를 받아 연명하는 65세 이상 기초생활 수급대상노인 36만 여명 중 절반 이상이 틀니가 없어 고통받고 있다는 본지 제1180호(5월12일자) 4면 기사와 관련,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치과의사들이 적극 나서 도와야 할 때라는 여론이다. 金命得(김명득) 대의원총회 의장은 “노인틀니사업을 확대 해야 한다는 생각엔 대찬성이다. 그러나 각 지부 등에 구청이나 복지부에서 요청이 들어오는 틀니사업 건도 많은 만큼, 이것을 하나로 취합하고 예산과 대상노인 선정 등을 치과의사가 직접 맡아 사업주도권이 정부가 아닌 치과의사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李壽久(이수구) 서울지부 회장은 “치과의사가 책임져야 할 부분이다. 그러나 일시에 하기에는 곤란하고 감당하기에도 역부족인 만큼, 연차 계획을 세워 정부, 정치권과 함께 노력해야한다”고 밝혔다. 김성우 경기지부 회장도 “노인틀니사업 확대에 대해 동의한다”면서 “그러나 기존 치과계에 이뤄지는 많은 무료 틀니사업이 홍보부족으로 알려지지 않은 만큼, 창구를 치협으로 일원화해 치과의사들의 헌신이 부각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金知浩(김지호) 한국치정회 회장은 “어려운 노인들을 위한 틀니사업 확대 의견에는 찬성” 이라면서 “그러나 정부가 일방적으로 치과의사에게만 의지하고 맡겨서는 곤란하다”고 피력했다. 金 회장은 “정부는 치과의사들을 고소득 직종으로 분류하고 세무조사 등을 강화 하겠다고 천명하고 있다”며 “노인틀니 확대는 치과의사들이 땀흘려 봉사하는 사업인 만큼, 이에 걸맞는 사회적 혜택이 돌아가는 방법도 강구 해줘야 한다”고 밝혔다. 朴鍾琇(박종수) 치협 감사는“치과계를 위해 국가의 복지 정책 목표에 일조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어려운 이웃을 돕는 것은 우리가 할 일이며 논어에 덕을 쌓으면 외롭지 않다는 구절도 있다. 치과의사들이 할 수 있는 것은 의료봉사 다. 인술자의 역할을 해야 한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張英一(장영일) 서울대 치과 병원 병원장도 “치과계가 수익을 창출하는데 과열됐다는 느낌을 받은 적이 있다”면서 “가난하고 어려운 이들을 위해 개인적으론 치과의사들이 노인틀니사업에 적극 나서야 하고 각 병원들도 동참해야 한다고 생각 한다”고 밝혔다. 박동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