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협 산하 18개지부가 보철 치료를 포함한 저소득층 무료진료사업을 올 한해 동안 대대적으로 펼친다.
또 매년 보건복지부가 시행하고 있는 저소득층 노인틀니사업 예산이 올해부터는 시술한 개인치과가 아닌 각 지부로 배정된다.
李丙峻(이병준) 치무이사에 따르면 치협과 각 지부가 주최가 돼 노인틀니 등 보철 진료를 포함한 저소득층 무료진료사업을 올해부터 대규모로 시행하게 되며, 이미 보건복지부와의 협의가 이뤄져 마무리 단계에 들어선 것으로 알려졌다.
6월부터 본격 착수되는 저소득층 무료진료사업은 각 지부 특성에 맞게 자율적으로 시행하게 되며 올해뿐만 아니라 내년에도 대규모로 진행되게 된다.
이 같이 저소득층 무료진료사업을 치협이 주도적으로 펼치는 이유는 구강건강을 책임지고 있는 의료인으로서 치과의료 사각지대에서 고통받고 있는 저소득층 주민을 위해 보다 헌신할 때라는 시대적 요청과 노블리스 오블리제(지도층의 책임) 실천에 있다.
아울러 치협 산하 각 지부에서 매년 무료틀니사업 등 소외주민을 위한 사업을 펼쳐왔으나 홍보부족으로 치과의사 헌신노력이 사장돼 왔다는 판단 때문이다.
또 각 지부 별로나 개인적으로 무료진료 인술을 펼치고 있지만 통일화가 안돼 오히려 민원이 제기되고 있는 만큼 회원들의 무료진료를 하나로 통합, 일정기준을 갖고 추진함으로써 효과를 극대화하자는 것이다.
무료틀니사업 등 무료진료 사업을 펼치다 우려되는 부분은 의료 사고다.
특히 노인 대상으로 진료 때 발생 확률은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이다.
이와 관련 치협은 의료사고가 발생 했을 땐 국가 보상위원회에서 처리해주는 것으로 복지부와 협의 끝에 확정했다.
아울러 치과의사들이 땀흘려 헌신 노력 봉사하는 사업인 만큼, 세무상의 손비 처리 등은 재경원, 국세청 관련 부서와 협의해 확정할 예정이다.
지난 2002년부터 복지부가 펼치고 있는 기초생활보호대상 노인틀니 사업도 획기적으로 개선된다.
올해 틀니사업예산은 대상인원 5000명에 70억5천만원(국비35억2천5백만원·지방자치단체 35억2천5백만원)이다.
지난해에는 이 예산이 복지부 사업에 참여한 치과의원으로 지급됐으나 올해부터는 치협 산하 각 지부로 지급된다.
치협은 내년부터는 지부에서 대상자도 직접 선정할 수 있도록 추진 중에 있다.
정부가 보조금(예산) 지급으로 추진되는 사업이지만 예산과 대상자 선정을 치협안 대로 맡게 되면 치과의사가 주체가 돼 실시되는 정부 위탁사업으로 변경되는 것이다.
이와 관련 정재규 협회장은 “이 두 사업은 저소득층 주민과 치과의사를 위한 사업” 이라면서 “사업추진 시 시행착오를 격지 않기 위해 최대한 노력하고 있고 이 사업의 성패는 회원들의 열린 마음과 열정에 따라 성패가 좌우되는 만큼, 치협 방침에 적극 협조해달라”고 피력했다.
박동운 기자 dongwoon@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