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들 적극 동참 필요”
치협의 저소득층 무료진료사업과 복지부 노인틀니사업개선을 추진해온 李丙峻(이병준) 치무이사는 무료진료사업과 노인틀니 사업확대에 일부회원들이 우려감을 표시하고 있지만 여러 대비책을 마련했고 추진중인 만큼, 지나친 걱정을 할 필요 없다는 입장이다. 다음은 李 이사와의 일문 일답이다.
치협과 각지부가 추진하려는 무료진료사업은 어떤 것인가?
노인틀니와 보철진료가 포함된 사업이다. 기존 각 지부나 개인적 차원에서 하는 무료진료사업도 치협 추진 무료진료 사업 통계에 잡히게 된다. 저소득층 주민을 위해 각 지부의 회원들이 보다 많이 진료사업에 동참하고 보철 진료에 비중을 둬 진료에 임하면 되는 사업이라고 말하고 싶다. 틀니만을 제공하는 사업은 결코 아니다.
이 사업을 추진하려는 이유는?
노인 틀니 등 치과의료부문에 대한 민원이 청와대나 보건복지부에 많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일부에서는 교정 보철 분야의 보험화 주장이 나오고 있다. 건강보험재정상 시행하기가 어렵다는 분석이 있지만 정부가 하는 대로 맡겨 놓아선 곤란하다.
우리 치과의사들은 오랜 동안 무료틀니 사업을 포함, 소외 주민을 위해 헌신 노력했으나 홍보부족 등으로 국민들의 인식이 부족하다. 기존 무료진료의 질을 높이고 확대하며 중앙회 차원에서 홍보를 극대화, 치과의사들이 헌신 봉사하는 도덕성을 갖춘 집단으로 각인 시키는 것이 시급한 시기다.
올해 사업추진후 기대효과는?
회원들의 적극 동참으로 성공적으로 끝난다면 좋은 일하는 치과의사 선생님들로 각인 될 것이다. 치과의사 직능의 위상제고도 기대된다.
정부에서 돈 받고 진료해준다는 용역 제공자라는 일부 국민들의 인식전환에도 큰 몫 을 할 것으로 보인다.
이 사업의 의미는?
노블리스 오블리제를 더 한층 실천하자는 것이다. 이것이 치협이 할 일이라고 생각한다.
의약분업사태로 의사들의 권위는 땅에 떨어졌다. 장기적으로 존경받는 직능이 되기 위해서 사랑하는 국민을 위해서 보다 헌신하자는 생각이다.
노인대상 보철 진료가 어렵다. 부작용도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한 대비책은?
난이도가 높고 위험한 진료는 각 치대병원 등에서 할 것으로 본다. 각 치대 병원장들이 이사업에 적극 참여키로 약속한바 있다. 무료진료 중 의료사고 발생 땐 국가 보상위원회에서 이를 담당 해주기로 했다. 최소한의 안전장치는 마련된 것이다.
치과의사들이 헌신 봉사하는 만큼, 정부에서 감안해주는 것은 없나?
보철 무료 진료 시 손비 처리는 인정돼야 한다고 본다. 지금같이 고소득 직종으로 분리해 세무조사를 심하게 하는 것도 문제가 있다고 본다. 사회와 국민을 위해 봉사하는 직능인 만큼, 일정 부분 참작돼야 한다고 본다. 이 문제는 현재 관계기관과 계속 협의중이다.
국민들에게 치과의사들의 헌신노력이 부각되려면 홍보가 중요하다 대책은?
치과의사가 무료진료에 헌신한다는 공익광고를 만들어 TV에 방송하려는 복안을 갖고 있다.
이 문제는 각 지부 관계자들과 상의해 진행될 것이다. TV공익광고가 이뤄지면 상당한 홍보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노인틀니사업 주요 개선점은?
정부 추진노인틀니 사업이 있고 기공료도 안되는 보조금을 받고 시행되는 각 지부의 무료틀니사업도 있다. 두 사업이 공존하다 혼동이 왔고 회원들간 서먹함은 물론 환자들은 “정부 지원금으로 시행되는 사업”이라며 치과의사들에게 고마움을 느끼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정부추진틀니사업의 경우 앞으로 예산과 대상자 선정에 있어 치과의사가 맡는 것을 추진 중이다. 치협 안 대로 이뤄진다면 명실상부 치과의사가 주체가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치과의사의 헌신으로 이뤄지는 사업이라는 점이 주민들에게 인식시킬 수 있게 됐다.
앞으로 정부의 노인틀니 사업의 방향은?
치협 산하 각 지부회장과 지방자치단체장과 협의 하에 사업이 본격 추진될 전망이다. 각 지부로 예산도 배정되는 만큼, 전권이 지부회장들에게 주어진다.
정부의 노인틀니사업 개선안의 의의는?
일부 지방자치단체는 약간의 보조금을 주고 보철수가를 조정해 고착화하려는 시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 같은 시도는 사라질 것이며 정부가 위탁해 치협 회원들이 헌신하는 사업으로 자리잡을 것이 기대된다.
정부노인틀니사업은 확대되는 가? 치과의사들이 위탁받아 사업을 추진했을 때 정부가 원하는 수준보다 틀니 양이 많아야 하나?
복지부의 내년 예산 편성안은 상당이 늘리는 것으로 돼 있다. 지부의 자율에 맡긴다. 그러나 봉사차원의 성격도 감안해 정부 기대치 보다 대상인원이 많았으면 한다.
회원들에게 전할 말은?
무료진료사업과 정부 노인틀니사업은 저소득층 주민과 결국은 치과의사들을 위해 하는 사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