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치협 추진 노인
무료치과 진료사업

관리자 기자  2003.06.23 00:00:00

기사프린트

# 어떻게 운영되나 8월부터 착수 내년 7월까지 완료 70세이상 생보자·독거노인 대상 치협이 지난 17일 대통령 독대를 통해 밝힌 저소득층 노인 1만5000여명 무료치과 진료사업은 오는 8월 1일부터 본격 착수해 내년 7월말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대상자 우선 순위는 70세 이상의 기초생활보장대상자와 무의탁 독거 노인, 사회복지 시설에 수용중인 노인이다. 이들 노인들에 대한 무료치과 진료범위는 ▲무치악 부분 무치악 노인에 대해서는 틀니를 장착하고 ▲일반치과 보철을 포함한 보철 치료 ▲구강검진 및 치료 ▲기타 치과의사의 진단결과 치료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진료다. 이와 같이 노인 진료사업은 틀니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은 결코 아니며, 대상자 1만5000명에는 일반진료도 포함돼 통계에 잡히게 된다. 특히 1만5000명에는 기존 복지부 노인틀니 사업 5000명도 포함돼 있어 우선 치협이 시급히 추진해야 할 대상인원은 1만명으로 좁혀지게 된다. 재원조달의 경우 복지부의 기존 노인틀니사업 5000명분은 복지부의 책정 사업비로 추진하게 되며, 치협 추진 1만명 대상 무료치과 진료사업은 참여 치과의사들이 자비로 충당해야 한다. 그렇다면 치과의사들이 가장 관심 있는 치료기관은 어떻게 선정될까? 회원들의 자율적 시행을 유도한다는 것이 치협의 기본 방침이다. 이 사업의 취지에 반대하거나 생각이 다른 회원들에게는 강요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치협은 대한치과의사협회 회원으로서 본 사업의 취지에 찬동, 참여를 희망하는 전국 모든 치과에게는 개방하겠다는 입장이다. 치료노인 대상자 선정은 일단 전국 읍·면·동에 배치돼 있는 7000여명의 사회복지요원이 무의탁노인을 발굴하고 최종 보건소와 협의해 선정키로 했다. 아울러 본인 또는 보호자가 직접신청해도 되며, 신청접수 기관은 보건복지부와 치협 산하 16개 지부로 했다. 선정된 노인들에 대한 진료 절차는 치협이 대상 노인들에게 진료 예정일시와 진료 치과를 알려주면, 읍·면·동 사회복지사들이나 보건소 요원의 안내를 받아 내원해 진료를 받게 된다. 진료를 마친 노인들은 해당 진료 치과에서 1년간 사후 관리를 해주게 된다. # 치협 대책 마련 치협은 현재 이 사업의 순항을 위해 철저한 대책마련에 착수했다. 오는 25일까지 세부추진 계획이 작성되고 28일경에 시도 지부장회의를 열어 사업 설명을 하게 된다. 7월 1일엔 임시이사회를 열고 세부 계획안을 의결하고, 바로 7월 한달간 대 회원홍보와 대 국민 홍보에 본격 착수, 사업의 취지를 널리 알리게 된다. 특히 치협 내에는 사업 시행 본부를 설치, 치무 담당부회장이 본부장을 맡아 총괄 지휘하게 된다. 아울러 지부별로도 추진반을 운영, 지부담당 부회장이 추진반장을 맡는 방안도 고려되고 있다. 치협은 홍보 담당이사가 팀장이 되는 홍보팀을 따로 운영, 홍보 역량을 극대화 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치협은 KBS의 협조를 받아 사업취지와 치과의사의 헌신을 부각하는 TV용 공익 광고 제작도 신중히 검토하고 있다. # 기대 효과는 치과계 국민의식 변화 “한몫” 치협은 노인무료치과진료 사업을 펼쳤을 때 회원들에게 보답할 손익계산도 염두에 두고 있다. 사업참여 회원들에게는 고마움의 표시로 대통령 감사장 수여를 추진하고 의료기관의 부담금에 대한 세액공제방안도 마련중이다. 이와 관련 鄭在奎(정재규) 협회장은 “이 사업 성공적으로 추진된다면 치과 의료계에 대한 국민인식 변화는 물론, 치과의사 스스로도 사회적 봉사자로서 긍지를 느낄 수 있을 것" 이라면서 "이 사업의 성패는 회원들의 헌신과 열정에 달려있다"고 강조했다. 鄭협회장은 특히 “이 사업으로 국민들에게 사랑 받고 치의 스스로 자긍심 높여 강한 치협으로 거듭나는 시작이 되길 기대한다"며 “협회장으로서 치과계 백년대계를 깊게 생각해 봤고 앞으로 우리사회가 나갈 흐름을 면밀히 분석한 결과 치과의사가 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이라는 결론을 내리게 됐다"고 강조했다. 鄭협회장은 “우리 치과의사들은 그 동안 열심히 봉사해 왔음에도 불구, 홍보가 제대로 되지 않았다면서 치과의사의 선행을 널리 알릴 것이며, 이 사업도 기존해왔던 사업에서 어느정도 확대하는 것이기 때문에 회원들이 큰 부담을 느낄 필요는 없다”고 강조했다. 박동운 기자 dongwoon@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