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정책과’로 명칭 변경 추진
선진국형 정책모델 입수 등 정책 부서로 탈바꿈

관리자 기자  2003.07.17 00:00:00

기사프린트

정 협회장 “이미지 각인 필요”
치협이 구강보건과 명칭을 구강정책과로 변경시키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또 선진국형 구강정책모델을 입수해 복지부 구강보건과가 정책 부서로 탈바꿈 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정재규 협회장은 최근 “구강보건과 명칭자체가 사업부서의 의미가 커 정부 조직 구조조정 때마다 흔들리고 있다"며 “구강정책과로 명칭을 변경, 정책 부서로서의 이미지를 각인 시킬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정 협회장은 “이미 김화중 보건복지부장관과 이 문제를 상의, 개명토록 하겠다는 답변을 받아냈다"면서 “과 명칭변경은 복지부 자체적으로도 가능한 만큼, 어렵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치협이 이 같이 구강정책과로 명칭변경을 추진하는 것은 지난 5월 복지부가 현재 국립의료원을 CDC(미국 질병관리센터)성격을 겸한 국가중앙의료원으로 확대 개편 안을 만들면서 구강보건과를 국가중앙의료원 쪽에 편입시키려는 계획을 추진한 바 있다. 이에 치협은 복지부 본청으로 의 존속을 주장하며 강력 반발, 현재로선 일단 백지화 된 상태다. 이후 치협은 구강보건과가 과 명칭을 비롯해 업무성격이 정책 위주가 아닌 사업부서 성격이 강한 것도 정부부처 부서 구조조정 때마다 포함되는 원인의 하나라고 분석하고 과 명칭 변경을 적극 추진해 왔다. 특히 국민구강건강과 치과계를 담당하는 유일한 전담부서로서 국가 구강정책을 양산하는 주요정책 부서로 자리매김 하기 위해선 치과계 모두가 나서 새로운 정책업무 개발을 도와야한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이병준 치무이사는 “새로운 구강보건 정책개발이 없이는 구강보건과가 성장할 수 없는 만큼, 선진국형 구강보건정책 모델 도입이 절실하다"면서 “치협은 현재 일부 선진국가에서 유학중인 예방치의학 교수들과 접촉, 이들을 통해 선진 구강정책 리포트를 확보해 복지부에 제공하는 방안을 추진 중에 있다”고 밝혔다. 이 이사는 특히 “정책이 늘면 이에 걸 맞는 정부 예산도 뒤 따라올 것" 이라면서 “국민과 치과계 구강보건과를 위해서라도 선진국형 구강보건정책 청사진을 곧 제시토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박동운 기자 dongwoon@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