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인천 ‘덴탈허브존’ 육성 절실”
“자유구역내서 치과진료 전문화 바람직”

관리자 기자  2003.08.11 00:00:00

기사프린트

이병준 치무이사 주장 최근 영종도 등 인천일부 지역이 경제자유구역으로 선포된 가운데 이곳에 ‘덴탈허브존’을 육성, 치과계 미래를 준비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보건복지부 조직개편 움직임과 관련, 지난 7일 열린 긴급회장단회의에서 이병준 치무이사는 치과계 앞날을 위해 치과의료를 포함한 치과산업의 육성을 피력해 눈길을 끌었다. 특히 이날 회장단회의에서의 이 이사의 주장은 업무가 많아야 구강보건과가 국으로 확대개편 되는 등 육성될 수 있다”는 논리적 근거를 뒷받침해 주는 실행모델도 가능해 주목된다. 이날 회의에서 이 이사는 “전 세계적으로 한국치과 의료 기술은 선진국 수준이며 치과기자재 및 구강위생 용품을 유통 생산하는 치과산업 또한 경쟁력이 있다”고 밝혔다. 이 이사는 이같은 “좋은 조건을 사장시켜서는 미래를 기대하기가 어렵다”면서 “경제자유구역이 개발되고 의료시장개방을 눈앞에 둔 시점에서 국가차원에서 개발·육성시킬 수 있도록 치과계가 나서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특히 이 이사는 “정부가 나서 지원한다면 경제자유구역이 동아시아 ‘덴탈 허브존’으로 급부상 할 수 있다”며 “치과진료의 경우 심미치과, 미용치과, 임프란트 등으로 전문화시켜 자유구역 내에서 활동토록 장려하고 집중 육성 한다면 ‘치과 진료 관광’도 가능, 국가 전략산업으로도 부상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이사는 기자재산업과 관련, “정부는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치과기자재 규격을 통일시키고 구강보건산업에 대해 새롭게 인식, 구강보건산업진흥에 힘쓴 쓸 수 있는 정부조직이 필요하며 시급히 논의돼야 할 때”라고 역설했다. 이날 브리핑과 관련, 이병준 이사는 “치과의료와 치과산업의 아시아 맹주 자리를 놓고 일본과 겨뤄 보자는 것”이라며 “지금은 일본이 앞서 있지만 한국 치과계는 저력과 잠재력이 풍부한 만큼 적극 노력한다면 가능한 일”이라고 밝혔다 한편 치협은 이 이사의 주장이 미래지향적이며, 타당성이 있다고 보고 곧 보고서 형태의 페이퍼를 작성, 정부에 건의하는 방향을 검토중이다. 박동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