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순의원 진흥원 국감지적
보건산업분야의 국가 연구개발사업에 있어 부처별 중복투자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성순(민주당) 의원은 지난 24일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국정감사에서 “보건산업은 고령화사회 도래와 함께 차세대 미래 성장동력 산업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특히 IT, BT, NT 등 신기술과 융합, 신산업 기회를 창출할 수 있어 무엇보다도 범정부차원에서 종합적이고 집중적인 지원이 필요하지만, 보건복지부, 과학기술부, 산업자원부, 농림부, 환경부 등 여러 부처가 제각각 중복적으로 투자하고 있어, 연구개발사업의 효율성을 저하시키고 예산을 낭비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특히 유전체와 단백질분야 연구개발사업과 관련, “보건복지부에서는 12개의 ‘질환군별 유전체센터’, 3개의 ‘병원성미생물유전체센터’, 1개의 ‘질병유전단백체종합연구지원센터’와 ‘바이오이종장기연구개발센터’, ‘약물유전체연구사업단’을 지원하고 있으며, 과학기술부에서는 ‘인간유전체기능연구사업’, ‘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개발사업’, ‘세포응용연구사업’, ‘프로테오믹스이용기술개발사업’을 지원하고 있고, 또 산업자원부에서는 ‘난치성질환유전자치료제개발’, ‘동물세포배양기술이용치료용단백질생산기술’, ‘산업용초소형단백질칩대량생산기술’, ‘식물체를 이용한 고부가가치 단백질생산기술’ 등을 지원하고 있다”고 제시했다.
김 의원은 “부처간의 이기주의에서 벗어나 바이오 보건산업을 21세기 고부가가치 국가전략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범정부 차원의 협력과 조정이 필요하다”면서 “바이오 보건산업분야 연구개발사업을 총괄적으로 기획하고 조정해 부처간의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투자 및 지원으로 국가 연구개발사업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경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