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정의제도에 대한 해법찾기에 고심하고 있는 가운데 이에 대한 회원간 합의도출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인정의대책연구위원회(위원장 김종열)는 지난달 26일 협회 회관 4층 회의실에서 회의를 열어 인정의문제에 대한 각 위원들의 의견을 수렴했다.
김종열 위원장은 인사말을 통해 “회의가 신속하게 진행돼 결론을 이끌어내면 다음 회의에서는 보다 진전된 내용을 공유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 이번 회의가 무척 중요하다”며 “오늘 회의가 앞으로의 토론 방향을 잡을 수 있는 자리가 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날 연구위원회는 전 회의록 검토를 거쳐 ‘인정의’라는 명칭에 대해 현재 인정의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일부 분과학회의 입장을 듣는 것으로 시작됐다.
인정의제도를 찬성하는 위원측은 “‘인정의’라는 명칭에 대해 학회내에서 내부논의를 거친 결과 명칭변경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동의했다”고 밝혔으나 “수련 교육 등 제도자체의 존폐여부에 대해서는 아직 뚜렷한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고 말했다.
일부 위원은 “학회 발전을 위해 인정의 제도가 지속돼야 한다”며 강경한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이에 대해 인정의제도를 반대하는 위원측은 “이미 복지부 유권해석 결과 ‘인정의는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이 나온 상황이 아니냐”며 “최근 전문의제도 시행이 결정된만큼 지금이 인정의제도를 폐지하기 위해 가장 적절한 시기일 것”이라고 주장, 여전히 팽팽한 시각차를 드러냈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는 김종열 위원장이 인정의제도와 관련한 여러 가지 개념들에 대해 설명하는 자리를 가지고 오는 29일 예정된 다음 회의때 이에 대해 집중 논의키로 했다.
윤선영 기자 young@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