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오 원장
■학력
서울치대 졸업
USC 치대 졸업
USC 치대 보철과 수료
USC 치대 Complete Denture Course Director
■경력
단국대 외래 조교수
삼성의료원 외래 조교수
인하대 외래 조교수
국립의료원 자문위원
연세대 외래 교수
삼성의료원 외래 부교수
현 치예원 원장
Implant Treatment of Posterior Teeth
for Periodontally Compromised Patient
(1) Introduction
올해 미국 임프란트학회인 AAID가 52주년 맞았고 한국 임프란트학회가(KAID)가 27주년을 맞았다.
치주과 영역에서는 임프란트가 정식 학문으로 자리하기는 1986년 Dr. Meffert의 논문이 다하면 1985년 미국 치주학회에서 공식적으로 공인됐다고 한다.
지금 전세계의 약 150 system이 있다고 하고 Branemark system, I.T.I. system I.M.Z. system이 대표적이다.
요즈음은 여러 종류의 장점을 취합하 Crossover of Implant system을 하는 경향이 있다.
최근에는 드디어 Branemark 본사도 ‘Tiunite"라고 하여 매우 발달된 형태의 roufh surface를 판매해 조만간 Smooth surface는 단종될 것으로 예측된다.
(2) Characteristic of Perio-Compromised Implant Patient
치주 질환에 의해 생긴 임프란트 환자는 여러가지 면에서 불리한 점을 가지게 된다.
1) Endo-origin, Perio-origin
치아의 결손으로 임프란트의 대상이 되는 경우는 크게 두가지로 나눌수 있는데 하나느 보존과 질환에 의한 것이 하나이고(그림 2-1, 2-2 충분한 골양과 짧은 크라운) 다른 하나는 치주 질환에 의한 것이다.
그림 2-3의 삼각표에서 보는 치조골 베이스와 화살표의 상악동 기저 사이에는 1∼2mm의 골질밖에 없는 불량한 환경이 된다.
2) Characteristics of Perio-origin
치주 질환은 그 특성상 주위 뼈의 지속적이고도 광범위한 파괴를 동반한다.
그 결과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가진다.
① Short height of remaining alveolar b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