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치의신보,이식학회 공동기획(4-1) 어려운 임프란트 수술 어떻게 할 것인가?

관리자 기자  2003.11.03 00:00:00

기사프린트

 

상악 전치부 임프란트를 위한 Soft tissue management<지난호에 이어 계속>

 

Miniscrew를 사용해 block bone을 고정시키고(그림 22), Dr. Buser의 layer suture technique를 사용해 flap을 봉합했다(그림 23). 이와 같이 큰 bone augmentation이 이뤄질 때의 가장 중요한 문제점은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wound dehiscence의 예방이다.


Wound dehiscence를 일으키는 중요한 문제점들 중 하나는 postoperative swelling이며, 이와 같은 augmentation이 이뤄지고 나면 당연히 상당한 swelling이 예상되므로 이에 대응할 수 있는 강력한 suturing이 필요하다. Dr. Buser의 layer suture technique를 이중 혹은 삼중으로 사용하게 되면 사용된 membrane이나 bone graft의 노출이 없는 깨끗한 치유를 얻어낼 수 있다(그림 25).


자가골이식 4개월후 이식 전에 비해 증가된 치조제를 나타냈지만 심미적인 emergence profile이 만들어지기에는 아직 다소 부족한 상태였으므로 Onlay-Interpositional graft를 실시하여 보충하기로 했다(그림 26).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임프란트를 식립했으며 우수한 초기고정을 얻을 수 있었다(그림 27).
Healing abutment를 연결해 One stage surgery를 도모했으며 두 개의 healing abutment사이의 빈 공간을 palate로부터 얻은 soft tissue를 graft했다(그림 28과 29).


Onlay-interpositional graft는 soft tissue에 의한 vertical augmentation을 이룰 수 있을 뿐 아니라 interpositional area의 connective tissue에 의해 labial gingival contour를 회복시켜 줄 수 있다(그림 30과 31).


임프란트 식립 4개월뒤 임프란트에 연결되는 provisional restoration을 제작했으며(그림 32), 다시 2개월 뒤 soft tissue의 remodeling이 이뤄진 다음 최종보철물을 제작했다(그림 33). 초진시 보철물의 labial angulation과 비교해 만족스러운 angulation과 함께 심미적인 emergence profile을 얻을 수 있었다.

 

B. Crestal incision with full & partial thickness flap making
이 방법은 labial vestibular incision과 마찬가지로 augmentation이 예상되는 경우 graft의 안정성을 꾀하고 flap의 tensionless closure를 보장받기 위한 방법이다.


임프란트 수술을 위해 flap을 형성했을 때 별도의 graft가 시도되지 않았는데도 다소 flap이 모자라는 느낌이 들 때가 있다. 이때 우리는 대개 periosteal releasing incision을 해 tension을 해결하게 된다. 여기에 소개되는 방법은 예상되는 graft의 양과 그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tension의 정도를 파악해 periosteal flap을 미리 형성해 둠으로서 dead space의 형성과 swelling을 억제하고 periosteal releasing incision의 효과를 확보하여 flap의 벌어짐을 막아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ase presentation for crestal incision with full & partial thickness f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