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악 전치부 임프란트를 위한 Soft tissue management
<지난호에 이어 계속>
(3) Onlay-Interpositional graft - Soft tissue를 사용한 vertical augmentation이 필요한 경우
Hard tissue에 의한 augmentation을 사용할 수 없거나, 혹은 hard tissue에 의한 augmentation을 실시했음에도 불구하고 다시 상당량의 vertical augmentation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soft tissue에 의한 augmentation을 사용할 수 있다.
여러 가지 technique들이 보고되고 사용돼왔지만 augmentation의 범위와 양, 장기간에 걸친 dimensional stability 등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onlay-interpositional graft technique가 가장 강력한 수술법이라고 할 수 있다.
Recipient site에서는 가장 훌륭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technique이지만 많은 양의 palatal tissue가 채취돼야 하므로 donor site의 healing이 훨씬 느리고 때로 postoperative bleeding, paresthesia나 anesthesia 및 scar formation 등의 complication이 생길 수 있다.
(Case presentation for the Onlay-Interpositional graft)
62세의 남성 환자로서 상악 중절치의 심한 동요도 및 출혈을 주소로 내원했다 (그림 43).
4전치를 발거하고 degranulation을 실시한 다음 (그림 44), 양 측절치의 발치와를 기준으로 두 개의 임프란트를 식립했다 (그림 45).
Implant의 shoulder는 인접 견치의 mesial bone level로부터 약 2∼3mm정도 하방에 위치시켰다. 그 후 xenograft와 membrane을 사용해 hard tissue augmentation을 실시하고 suture했다(그림 46과 47).
약 4개월후 최대한의 hard tissue augmentation이 이뤄졌음에도 불구하고 gingiva는 reverse smile outline을 나타냈다(그림 49).
Pin point exposure와 함께 약간의 exudate가 관찰되므로 membrane의 제거와 함께 Onlay-Interpositional graft를 실시키로 했다.
Membrane의 제거과정에서 inflammation이 없는 건강한 bone tissue가 regeneration되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그림 50).
Recipient bed를 형성한 다음 구치부 edentulous space를 포함하는 큰 graft를 채취했다(그림 51과 52).
그림 53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