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가 권역별 응급의료센터로 지정된 병원 15곳을 평가한 결과 응급의학 전문의 확보율이 낮고 응급환자 전용입원실, 중환자실의 구비율 등 인프라가 열악, 무늬만 응급의료센터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특히 이번 조사결과 울산지역 응급의료센터로 지정한 병원은 기준에 크게 미달 취소됐다.
복지부에 따르면 별도의 전담건물을 확보하지 못한 병원이 4곳이었으며, 응급환자 전용입원실과 중환자실을 법정기준에 맞게 설치한 병원이 각각 6개 병원과 3개 병원에 불과했다.
아울러 응급환자 전용 수술실을 확보한 병원도 8개소에 불과하고 이나마도 응급환자 전용으로만 사용되지 못하고 있었다.
특히 응급의학 전문의를 법정정원만큼 확보한 병원은 7개소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간호사 및 응급 구조사 등 기타인력은 대부분 법정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알려졌다.
복지부는 이에 따라 법정기준이 미흡한 인프라를 빠른 시간 내에 보강토록 개선비용 32억5천만원을 14개 병원에 긴급 지원했다.
한편 현재 권역별로 응급의료센터로 지정된 병원은 ▲서울 서울대병원 ▲부산 부산대병원 ▲대전·충남 충남대병원 ▲광주 전남대병원 ▲대구 경북대 병원 ▲전북 전북대병원 ▲인천서해 중앙 길병원 ▲경북 안동병원 ▲전남 목포한국병원 ▲경남 마산 삼성병원 등이다.
박동운 기자 dongwoon@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