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치의신보,이식학회 공동기획(6-2) 어려운 임프란트 수술 어떻게 할 것인가

관리자 기자  2003.11.24 00:00:00

기사프린트

Inadequate ridge에서 인공치 식립과 골이식(Bone grafting)
<지난호에 이어 계속>

 

 

11. 마지막으로 피부를 봉합하고, 압박 드레싱을 한다.

 


임상증례 5

 

늑골 채취법(Rib harvesting)

 

1. 환자를 supine position으로 위치시키고, 채취할 측면의 어깨 밑에 포를 말아 바쳐서수술 시야와 접근이 좋게 한다.


2. 채취할 늑골과 흉골의 경계를 촉지를 통해 marking pen으로 표시한다. 일반적으로 4번째에서 8번째 늑골을 많이 사용하는데, 네번째 늑골은 젖꼭지 하방에 위치하므로 이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여자 환자에 있어서는 절개선을 inframammary line에 맞추어 절개 흉터가 눈에 잘 띠지 않게 해 준다.


3. 절개 5∼7분 전에 에피네프린이 함유된 lidocaine을 이용한 침윤 마취를 시행한다.


4. 절개선은 채취하고자 하는 늑골의 직 상방에 위치시키는 것이 편리하지만, 여자에 있어서는 inframammary line에 맞춰 줌으로써 절개 흉터가 눈에 띠는 것을 막아준다. 절개는 sternocostal notch 2∼3cm 측방에서 시작해 5∼10cm 정도의 길이로 채취하는 늑골의 길이에 맞추도록 한다. 피부와 피하지방층을 절개하면 바로 흉근이나 늑간근이 노출된다.


5. 이렇게 되면 골막과 연골막으로 싸여 있는 늑골의 경계가 명확히 드러나게 되는데, costochondral junction이 잘 보이면 그대로 표시하고 잘 보이지 않으면 21게이지 니들로 늑골을 찔러보아 연골 부위를 확인한다. 늑연골을 같이 채취할 경우에는 먼저 늑연골을 약 1cm 정도 잘라낸 다음 pleural surface 쪽의 perichondrium을 노출시킨다.


연골을 채취하지 않을 경우에는 늑골-연골 결합부를 fracture 시키거나 늑골을 절단한다. 측방 경계의 늑골을 늑막이 천공 되지 않도록 유의하면서 환상으로 curved periosteum으로 늑골막을 분리 박리한다.


6. Rib shear나 oscillating saw를 이용해 ribbon retractor로 늑막쪽을 잘 보호하면서 늑골을 자른다. 그리고 늑골단을 들어 올리면서 내면에 붙어 있는 골막을 조심스럽게 박리해 늑골을 채취한다.
7. 늑골편을 채취하고 나면 수술부위를 생리식염수로 잘 씻어 내고 식염수가 흥건히 고여 있게 한 다음 환자의 폐에 숨을 크게 들어 마시게끔 해(positive ventilation) 한 10여초간 유지하면서 pleural cavity가 찢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