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치의신보,보존학회 공동기획,지상강좌(2)■ 대주제 - 근관치료의 성공과 실패

관리자 기자  2003.12.01 00:00:00

기사프린트

 

근관치료 실패의 원인균
Enterococcus faecalis를 현상수배 합니다


●이우철 교수
■학력
서울치대 졸업
서울치대병원 보존과 수련 및 석사
University of Pennsylvania Department of Endodontics (미국 펜실베니아 치과대학 근관치료과) 수련 및 석사


■경력
University of Pennsylvania Department of Endodontics Clinical Faculty (임상강사)
서울치대병원 보존과 전임의
성균관대 삼성서울병원 치과 외래 조교수

 


근관치료의 성공과 실패에 관련해 perforation이나 ledge, broken instrument 없이 또한 overfilling 되거나 짧게 충전 되는 일 없이 방사선 사진상으로 보기에 좋게 잘 된 경우가 성공이라고 인식돼 왔다. 따라서 근관치료를 좀더 보기좋게 잘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새로운 기구와 술식이 소개돼 주목받고 있고(그림 1, 그림 2), 여러 술자들도 이러한 기구의 사용이 좀더 나은 성공을 가져다 줄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으며 첨단 술식을 익히는데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 왔다.


이에 부응해 비교적 고가인 근관치료용 장비를 국내 기술에 의해 개발해 가격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노력도 꾸준히 있어 왔고, 그 결과 국산 apex locator도 등장했고 서울대 백승호 교수님과 이인환 원장님이 함께 개발한 열가압 근관충전기구 (Duo; B&L Biotech)가 식약청 심사를 통과해 시판되기에 이르렀다(그림 3).


이런 첨단 술식의 영향 덕택인지 이제는 방사선 사진으로 자신있게 보여주고 자랑하는 근관치료를 하게 되었고, 보기에 먹음직한 과일이 맛있어 보이듯이 보기에도 예쁘게 보이는 근관치료가 대개의 경우 좋은 결과를 가져다 주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림 4∼그림 12).


근관내 혹은 치근단 부위에 세균감염이 남아 있는 것이 근관치료의 주된 원인 임에는 틀림이 없는 사실이지만 눈으로 확인 할 수 없다보니 근관충전후 방사선 사진 상의 충전 상태에 따라 그 결과를 판단할 수밖에 없다는 임상적 한계를 인정할 수밖에 없고 결과적으로 짧게 충전 되거나 overfilling되는 경우 실패와 직결된다고 오인돼 왔던 것이다(그림 13∼그림 15).


따라서 file이 부러졌거나 perforation이 생기는 등의 근관치료도중 우발사고가 발생한 경우라도 항상 다 실패하는 것이 아니라 근관내 감염이 근관세척이나 근관내 약재사용등에 의해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남아있는 경우에 이런 우발사고와 동반되어 실패하는 확률이 크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근관내 세균에 대한 관심을 새롭게 가져야 할 것이다(그림 16∼그림 20).


이와 연관해 최근 소개되는 새로운 술식은 근관내 세균을 감소시키기 위한 좀더 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