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치의신보,보존학회공동기획6]근관치료의 성공과 실패/오원만 교수

관리자 기자  2003.12.18 00:00:00

기사프린트

●오원만 교수
■학력
전남치대 졸
■경력
전남치대 시간강사
전남치대 전임강사
일본 도호쿠 대학 치학부 방문교수
전남치대 조교수
전남대병원 보존과 과장
미국 미네소타 대 치대 방문교수
미국 UTHSC at SanAntio 방문교수
전남치대 부교수
전남대학교 평의원
전남치대 부학장
전남치대 학과장
전남대학교 대학원 주임
현재 전남치대 학장 및 대학원 위원

 

 

 

 

 

 

치아 및 치수강(pulp cavity)의 형태(morphology)를 알아야 근관치료를 잘 할 수 있다.
근관치료 실패는 치과의사의 실수나 잘못으로 인해 야기되는 의인성 원인이 매우 많은데 술자가 치아형태학(tooth morphology)에 정통해 있으면 근관치료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실수나 오류를 줄일 수 있다.


즉 치근 수, 치수강의 형태, 치수석 여부, 석회화 여부 및 정도, 치근의 흡수 여부, 치근 발육정도, 치근 근첨부에서 근관 분지 여부, 치근의 변형 여부, 비정상적인 치아 구조(기형), 정상적인 치아형태 등에서 잘 숙지하고 있다면, 치과의사는 정상적인 근관치료가 가능할 것인지? 혹은 외과적 근관치료가 필요할 것인지?, 혹은 발치하는 것이 시간적이나 경제적인 면에 유리할 것인지? 또는 전반적인 치료계획(overall treatment plan)을 세우는데 도움을 줄 것인가? 등을 미리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질 수 있게 되고, 근관치료시에는 어떤 근관형성 법이 좋을 것인가? 다양한 근관 충전방법 중에 어떤 충전 기법이 바람직한가? 등을 미리 판단할 수 있어, 치아형태학에 대한 지식이 근관치료의 실패를 줄이는데 매우 중요하다.


근관치료시 항상 정상적인 치아 형태보다는 예측하지 못했거나 지금 까지 접해보지 못한 경우가 많이 생기기 때문에 필자는 자주 접하지만 간과하기 쉬운 치아 형태학적인 적인 면에 중점을 두어 다루고자 한다.


1. 근관은 복잡한 근관계(root canal complex system)로 이뤄져 있다.
치아 및 치수강(pulp cavity)의 형태(morphology)에 정통해 있으면 있을수록 근관치료의 성공률은 그만큼 높아진다는 것을 술자들은 명심할 필요가 있다.


근관(root canal)이 상상외로 복잡하기 때문에 전혀 예상하기 힘든 형태학적 변이를 임상에서 접하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단순히 근관이라 일컫기보다는 복잡 근관계(root canal complex system)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다(그림 1).


대부분의 치아에서 multile foraminas, fins, deltas, loops 및 부근관 등이 나타난다(그림 2).
근관은 이와 같이 복잡한 근관계로 이루어져 있어 감염 치수 잔사나 잔존 세균들의 제거가 용이하지 않다.
근관치료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복잡 근관계의 치수 잔사나 잔존 세균들을 완전히 제거하려는 노력이 필요하고 이와 더불어 열연화 수직가압법 등에 의한 3차원적인 근관충전이 필요하다.


2. 치과의사는 방사선사진상의 2차원적인 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