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계 차원 대책 방안 모색2004년
치협 산하에 ‘경제특구 대응 특별위원회’가 구성된다.
치협은 WTO DDA 협상 진행이 한풀 꺾이고 있는 반면 경제특구 내 외국 병원의 내국인 진료가 허용되는 등 경제특구가 의료개방의 실질적인 전초기지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는 우려가 불거지자 이와 관련 치과계 차원의 적극적인 방안을 모색키 위해 경제특구 대응 특별위원회를 긴급 구성할 방침이다.
경제특구 대응 특위에는 김재영 부회장이 위원장에, 이병준 치무이사가 간사로 내정됐으며, 현재 경제특구로 지정된 인천, 부산, 전남지부의 대표 각 1인과 WTO DDA 보건의료분야 대응 특별위원회 위원진, 치협 학술이사 1인, 장영준 홍보이사 등이 위원으로 위촉될 예정이다.
특위는 다음달 1월에 열리는 이사회에 안건으로 상정, 인준을 받은 후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간다.
경제특구 대응 특위 위원장으로 내정된 김재영 부회장은 “현재 경제특구와 관련 의협, 병협, 간협 등 의료계 입장이 각각 상이한 상태인 만큼 경제특위는 일단 타 단체들과의 의견 조율을 통해 입장을 하나로 통합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 부회장은 또 “담당 주무부처에 특구내 의료개방이 면허제도를 심각히 훼손시키는 부당한 정책임을 정식 건의하는 등 관련 업무를 발빠르게 진행해 나갈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미 경제특구로 지정된 인천과 부산, 전남지역의 해당 지부들은 현재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이며, 지부별로 대책위를 구성, 지부회원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전국 18개 지부들 역시, 지난 11월 대전 유성에서 열린 지부장 회의에서 서울지부와 인천지부가 상정한 경제특구내 무조건적 의료시장개방을 반대하는 결의문을 채택, 이를 치협에 전적으로 위임키로 하고 적극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등 이번 문제가 해당 지부들만의 문제가 아니라 치과계 전체의 사활이 걸린 문제라는데 인식을 같이 하며 촉각을 세우고 있다. 강은정 기자 human@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