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부 20과 5실 13검역소 체제 구축
55년 역사의 국립보건원이 새해 들어 질병관리본부로 명칭이 바뀌면서 본격 출범했다.
국립보건원은 지난달 29일 검역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함에 따라 종사인력 481명에 1 연구원, 6부, 20과, 5실, 13검역소 체제로 지난 1일부터 업무를 시작했다. 이는 기존 국립보건원이 142명에 5부 8과 1연구소 5실 체제보다 조직 구성이 매우 강화된 것이다.
보건복지부는 이번 질병관리본부의 출범으로 사스, 에이즈, 홍역, 말라리아 등 신종 전염병과 재발 전염병 방역체계의 역량이 획기적으로 강화될 것을 기대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로의 조직개편 주요 특징은 전염병에 대한 방역기능을 강화하고 질병관련 시험과 연구기능이 전문화되도록 했다는데 있다.
또 검역과 방역 기능을 일원화 해 각종 전염병 유입 방지를 효과적으로 관리토록 했다.
전염병 관리 방역기능과 관련, 국립보건원 시절에는 방역과, 역학조사과, 전염병 정보관리과로 전염병 관리부를 운영하던 것을 방역과, 예방접종관리과, 에이즈 결핵 관리과, 생물테러 대응과 등 1부 4과로 늘리고 관련업무도 전문화 했다.
아울러 질병 조사 감시부를 신설해 검염관리과, 질병감시과, 역학조사과, 만성병 조사과를 두도록 했다.
질병관련 시험·연구기능 전문화와 관련, 질병관리본부는 국립보건원 시절 ▲세균부 ▲바이러스부 ▲생명의학부 ▲유전체연구소 등 3부 1연구소 12과 5실 체제에서 질병관리본부의 연구원인 국립보건연구원 아래 4부 14과 5실로 확대 개편하고 인력도 97명에서 11명을 보강, 전염병 진단 진단시약 및 예방치료제 개발, 병원체 보존 연구 등이 효율적으로 운영되도록 했다.
특히 현재 13개 국립검역소를 질병관리본부로 이관, 국립보건원 시절 검역소와 보건원 간의 업무 조직 연계의 불합리성을 탈피토록 했다는 것이 복지부의 주장이다.<조직표 참조>
보건복지부는 질병관리본부가 공식 출범함에 따라 향후 국민 불안감이 해소되고 전염병 창궐에 따른 정치, 경제, 국가이미지 손실 등을 막는 등 보이지 않는 사회적 기대효과가 클 것이라는 분석이다. 박동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