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사평가원은 ‘동료전문심사(Peer Review)’를 대폭 강화하고 진료비 청구절차를 보다 간소화할 방침이다.
심평원은 지난달 30~31일 양일간 현대인력개발원에서 임원과 상근진료심사평가위원 전원 및 실·부장 8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004년 변화관리 워크숍’을 개최, 심평원의 비전과 변화 추진 전략을 집중 논의했다.
이날 워크숍에서 심평원은 9개 주요 진료분야 등에 동료의사의 전문심사제를 대폭 확대, 현재 136명의 동료전문심사(PRO) 의·약사를 상반기중 200여명까지 늘릴예정이며 앞으로도 계속 늘려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요양기관의 진료비 청구절차를 보다 간소화하고, 자료제출도 최소화하는 한편 현지확인심사 사전예고제를 실시하는 등 심평원이 먼저 나서서 의약계에서 지속적으로 제기해온 문제점들을 해소, 협력적 동반자 관계로 나가도록 노력키로 했다.
이에 따라 심평원은 진료비 삭감·부당 청구 등 부정적인 용어는 의료계를 존중하는 어휘로 바꾸도록 용어정비에 나서기로 했으며 의료계 전체가 매도되는 등 부정적 영향이 없도록 각종 통계·지표 등을 보정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또 요양기관들의 불만요인이었던 심사조정 및 이의신청 처리결과를 앞으로는 보다 구체적으로 통보, 설명하고 주요 조정사례 등을 의약단체에 제공키로 했다.
심평원은 자체 조직개편을 통해 진료심사평가위원회 운영을 주관하는 기획심사위원실을 강화하고, 신의료기술평가·상대가치점수 개편 등 전문의료분야에 상근위원 전담체계를 2월중에 도입키로 했으며 630명 정원인 심사평가위원을 늘릴 계획이다.
한편 국민들의 진료선택 정보 접근권을 보장키 위해 10대 암 등 비용이 많이 드는 수술 및 질병에 대해 보편적인 진료비용과 입원기간 등 정보를 요양기관 종별·진료과목별·지역별로 올 1/4분기부터 제공하고, 심장수술·장기이식수술 등과 같은 특수진료 시술기관의 장비보유현황 정보제공도 추진할 계획이다.
또 국민·의약계의 불만과 고충을 객관적으로 처리키 위한 옴부즈만제를 3월부터 시행한다.
최종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