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신재의 원장 근대치의학사 논문 치의학·역사학계에 큰 의미

관리자 기자  2004.03.08 00:00:00

기사프린트

신재의 대한치과의사학회 직전회장이 대학원 문학박사 학위 논문으로 제출한 ‘한국근대치의학사연구’가 치의학계와 역사학계에서 의미있는 연구성과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이 논문은 역사학이 발전하면서 세분화 되는 추세에서 우리나라의 역사학이 그만큼 발전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면서 근대치의학에 관한 내용들을 총정리 했다는데도 의미가 크다.


신 전회장은 이번 논문에서 근대치의학의 도입과 발전을 근대화의 한 사례로 부각시켰으며, 각종 치과에 대한 제도와 정책을 통해 일제의 침략의도를 파악해 내는 성과를 올렸다.
신 원장은 논문에서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근대치의학이 도입, 수용 발전되는 과정에 일제의 침략성이 나타나 있었다”며 “치과의사에 대한 제도와 교육 등은 모두 일제의 정책과 통제하에 마련되고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신 원장은 ‘충치예방의 날’ 행사에서도 일제의 의도가 강하게 작용했으며, 치과치료용 금을 허가제로 통제, 치과재료를 배급제로 제한하고 한국인을 실험대상으로 한 면도 있었다고 주장했다.
일제가 검증되지 않은 재료와 발암성인 약품을 치과시술에 사용하고 있었던 점도 밝혀내기도 했다.
특히, 신 원장은 논문에서 치협 창립기원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조선치과의사회는 일본인 치과의사에 의해, 일본인만을 위해 설립된 단체였다”며 “더욱이 조선치과의사회는 한국인 치과의사의 권리를 제한하고 핍박한 단체였는데 여기서 치협의 기원을 찾는 것은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신 원장은 조선치과의사회가 식민지 통치에 호응하는 일본인 치과의사에 의해 운영됐으며, 한국인만의 한성치과의사회를 내선일체라는 명목으로 경성치과의사회와 강제로 통합, 한국인 치과의사는 단체활동을 할 수 없게 했다고 밝혔다.


신 원장은 “일제강점기의 제도나 교육 뿐만 아니라 치과의사회나 치과의학회의 설립과 활동까지도 금기시해 왔다”고 지적하고 “그러나 이에 대한 공과를 밝혀 온전한 현대치의학의 발전단계로 삼을 필요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신 원장의 연구결과는 곧 치의학서 전문출판사인 참윤퍼블리싱에서 단행본으로 발간될 예정이다.
이윤복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