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치협·정부 공동 ‘대북지원 특별위’ 구성 통일부·청와대 직접 관여 활성화 노력

관리자 기자  2004.03.11 00:00:00

기사프린트

물적지원보단 인적 학술교류 중점 추진
정 협회장, 특별위 대표자격 4월초 방북 예정


치협과 정부가 처음으로 북한 치과계와의 교류를 위한 공동 특별위원회를 구성했다.
또 통일부는 치협이 오는 5월 치협 종합학술대회 때 북한 학자 초청을 추진하고 있는 것과 관련,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는 방침이다.
정재규 협회장은 지난 5일 노르웨이 대사관에서 통일부 관계자, WHO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대북 의료지원을 위한 특별위원회’를 구성하고 첫 회의를 가졌다.


이날 첫 회의에서는 모든 치과 관련 대북 지원 사업은 WHO 북한 대표부로 창구를 일원화하고 기존 물질적 지원만의 대북 교류 형식에서 탈피, 학술 및 인적교류를 중점 추진키로 향후 위원회 사업성격을 규정했다.
학술 및 인적 교류는 구체적으로 ▲국내외 치과 의료도서 지원▲북한 치과의료수준 향상을 위해 북한 학자와 의료기기 기술자 초청교육 등으로 전개될 예정이다.
이날 위원회에선 특히 정 협회장이 특위 대표 자격으로 오는 4월초 북한을 방문, 북한 당국자와 교류 방안 등이 구체적으로 논의되고 방북 기간에는 WHO 북한 대표부 담당관인 소렌슨(노르웨이)박사의 협조아래 활동이 이뤄지는 방안이 논의됐다.


아울러 오는 5월 예정인 치협 종합학술대회에 인적 학술교류 차원에서 북한 치의학자를 초청 관련, 이날 위원회에 참석한 통일부 등 정부관계자는 “적극 지원하겠다”고 약속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번 특별위원회 구성을 위해 정 협회장은 지난달 11일 윤흥렬 FDI회장, 조건식 통일부 차관, 청와대 관계자, WHO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사전회의를 가진 바 있다.
이날 회의에서 윤 FDI회장은 북한 치과의료지원사업은 FDI에서도 적극 지원하고 치협의 학술교류의 원칙에 적극 찬성했다.


특히, 윤 회장은 지난 박정희 정부 때에는 국민을 위해 이동 진료차를 운용한 적이 있다면서 정부측에서 이동진료차를 지원하고 치협이 직접 대북한주민진료를 활동하는 방안도 건의했다.
치협 관계자는 “대북 구강보건사업에 정부가 나서게 돼 예측할 수 없지만 치협 대북사업이 날개를 달게 됐다”고 밝혔다.
박동운 기자 dongwoon@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