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연자가 말하는 Seminar Point 김영균 교수 [분당서울대병원]

관리자 기자  2004.03.11 00:00:00

기사프린트

 

(가칭)대한구강악안면임프란트학회가 지난 6일과 7일 서울아산병원에서 개최한 춘계학술대회에는 임프란트를 주제로한 많은 특강이 펼쳐졌다. 이 가운데 ‘임프란트 수술의 실패 및 극복’을 주제로 강연을 펼친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김영균 교수의 강연요지를 게재한다.


최근 임프란트 시술이 점차 보편화되고 있으면서 많은 발전이 있지만 시술이 많이 이뤄지고 있는만큼 합병증과 실패가 증가하고 있고 다양한 양태를 보인다. 아직 임프란트 시술은 고가 진료이면서 환자들의 기대 수준이 높은 만큼 합병증 발생시 의료 분쟁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아주 많으므로 임상의들은 실패 및 합병증에 대한 철저한 지식을 갖추고 대처 방안을 나름대로 준비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


임프란트 진단, 수술, 보철치료 및 유지 관리 등에 대한 내용들은 수많은 논문, 저서, 강연회 및 연수회를 통해 접할 수 있고 대부분의 임상의들이 숙지하고 있다고 본다. 이제는 언젠가 반드시 문제가 될 합병증과 치료 실패에 대한 대처 방안에 대해 적극적인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합병증과 치료 실패가 반드시 malpractice와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 물론 술자의 잘못에 의한 경우가 있을 수 있지만 대단히 드물며, 대부분의 합병증과 치료 실패는 정상적인 진료를 수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예기치 않은 상황에서 직면하게 된다. 모든 합병증 및 치료 실패는 담당 치과의사가 가능한 한 반드시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임상의들이 합병증과 치료 실패의 다양한 원인들과 해결책을 숙지하고 있다면 환자와의 대화를 통해 대부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일단 문제가 발생된 환자가 타병원의 다른 의사에게로 유출된다면 의료 분쟁은 불가피할 것이다. 임프란트 합병증과 실패는 언제, 어디서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한다.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엔 어느 누구의 도움도 받을 수 없으며, 가능한 한 본인이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자세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


실력이 우수하고 임상 경험이 많은 치과의사들일수록 수많은 합병증과 치료 실패를 경험하였으리라 본다. 수많은 논문, 저서, 학술 강연회 및 연수를 통해 지식을 습득하고 진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합병증과 치료 실패는 누구에게나 반드시 발생된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POINT1.  임프란트 술후 합병증수술 직후 합병증(immediate complication)
1. 피하출혈(ecchymosis) 및 혈종(hematoma) 2. 이차 출혈(secondary hemorrhage) 3. 술후 부종(edema) 4. 감염(infection) 5. 창상 열개(wound dehiscence) 6. 기종(emphysema)수술 후 지연 합병증(delayed complication) 7. 이차 신경 손상(secondary nerve damage) 8. 술후 지속적인 통증 및 만성 통증(chronic pain) 9. 상악동염(maxillary sinusitis) 10. 임프란트 주위 점막염 및 임프란트 주위염(periimplant mucositis and periimplantitis) 11. 임프란트 근단 병소(implant periapical lesion) 12. 초기 골유착 실패13. 이차 수술 후 임프란트 상부 노출(thread exposure) 14. 얕은 구강전정(shallow vestibule)과 임프란트 주변 각화치은 소실


POINT2.  임프란트 조기 실패 및 대처 방안


1. 임프란트 조기 실패의 예방 및 대처
(1)성급한 진단 및 치료계획 설정을 피하고 환자와 충분한 상담 및 설명을 시행한 후 환자와 친밀관계가 유지되면서 동의가 얻어진 경우에 한해 진료에 임해야 할 것이다. (2)실험적인 시술을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다. (3)원칙에 입각한 외과 및 보철적 처치를 시행해야 한다. (4)해부학적 지식을 습득하고 환자의 전신 건강상태를 면밀히 평가한 후 진료에 임한다. (5)실패 가능성을 항상 인식하고 술전에 실패 후 대처 방안(임프란트 재식립, 일반적인 보철 치료로 전환, 진료비 환불 방법 등의 보상 방안, 임프란트 후처치 기간 등)에 대해 환자에게 충분히 설명한 후 진료에 임한다. (6)적응증 및 금기증을 확실히 인식하고 진료에 임해야 한다. 참고로 임프란트 실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