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 소아치과(과장 박기태)가 삼성서울병원 치과진료부 개원 10주년을 기념해 오는 21일 개원의들을 위한 소아치과 임상강좌를 개최한다.
두개의 섹션으로 나눠 진행되는 이날 강좌는 오전에 ‘소아·청소년의 치아수복 및 치열공간관리’를 주제로 심연수·이재천 원장, 박기태 교수가 연자로 나온다.
‘Conscious Sedation’을 주제로 열리는 오후섹션에는 백광우 교수가 ‘Conscious Sedation의 기본원리’, 이기섭 원장이 ‘최신경향과 Monitoring’<세미나포인트 참조>, 김현정 서울치대 마취과 교수가 ‘흡입 진정시의 응급상황에 대한 대처 방안’에 대해 강연한다. 문의 3410-0038
이윤복 기자 bok@kda.or.kr
연자가 말하는 Seminar Point
이기섭 원장
<아동치과의원>
Conscious Sedation의 최신 경향과 Monitoring
최근 미국 소아치과학(AAPD) 조사에 의하면 sedation(N2O제외)이 필요한 대다수(78%)의 어린이들은 5세 이하이다.
아마도 2∼5세 사이의 어린이들을 치과 체어에서 치료하기란 매우 어렵고 힘든 작업이 아닐까 한다. 왜냐하면 약물 반응은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고, 간혹 opiods 같은 약물을 사용하거나 다시 약물을 복용하거나 혹은 다른 약물을 함께 복용시에 과량의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가 생기기도 하기 때문이다.
적절한 감시장치(monitoring)과 응급시 적절하게 준비된 응급 심폐소생술(CPR)을 위한 장비들과 emergency drugs을 갖춘 오직 잘 훈련된 의사만이 진정요법을 행해야만 하며, 반드시 AAPD guideline을 잘 숙지하고 준수해야 한다.
?POINT1. 진정용 약물의 종류와 용량(경구 투여시)
·meperidine (1~3mg/kg)
·Chloral Hydrate (20~70mg/kg)
·Hydroxyzine or promethazine (1~2mg/kg)
·Diazepam(0.25~0.5mg/kg)
·Midazolam(0.3~0.7mg/kg)
POINT2. 약 처방의 선택
a. Age에 따른 처방
1. 18∼36 months: Chloral Hydrate + Hydroxyzine
2. 37∼72 months: Chloral Hydrate + Meperidine + Hydroxyzine
3. >72 months: Diazepam: Midazolam
b. Procedure length에 따른 처방
1. Ultra short: Midazolam
2. Short procedure: Midazolam+ Hydroxyzine; Meperidine + Midazolam
3. Long procedure: Chloral Hydrate + Hydroxyzine; Chloral Hydrate + Meperidine + Hydroxyzine
c. Temperament/Behavior에 따른 처방
1. ‘easy’: Midazolam; Hydroxyzine; Lower dose Chloral Hydrate + Meperidine: N2O for titrating
2. ‘difficult’: Higher dose Chloral Hydrate + Hydroxyzin;: Chloral Hydrate + Meperidine + Hydroxyzine combo(all with N2O)
POINT3. 환자상태의 감시(Monitoring)
모니터링이란 환자가 진정상태에 있거나 마취된 상태에 있을 때 이들 약제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구토, 호흡불량 등의 부작용 등을 조기에 감지해 처치해 줄 목적으로 환자의 전신적인 생리 기능을 주기적으로 관찰하고 평가하는 과정을 말한다.
Monitoring시 3가지 중요한 요소가 있는데,
1. Clinical signs: Skin & mucosal color, respiratory rate & depth, pulse rate, skin temperature.
2. Physiological parameters: Oxygen saturation, heart rate, expired CO2, blood pressure
3. Behavioral responses: Vocalization(screaming to mild or no crying), arousal level (struggling to non-responsive).
4. 특히 Oral sedation시에는 어느 정도 sedation의 심도는 예측 가능하지만 final level을 예측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sedation이 깊어질수록 monitoring을 잘해야 한다. 특히, 어린이를 Papoose board나 Pediwrap으로 속박하기 때문에 clinical signs을 감지하기 어려워 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