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남윤 원장
■학력
단국치대 졸업
단국대 대학원 치의학 석사(치주과학)
단국대 대학원 박사과정(치주과학)
■경력
단국대 부속 치과병원 치주과 수련
대한치주과학회 재무이사
단국치대 외래교수(치주과학교실)
성남 김남윤 치과의원 원장
전치부 임플란트 수술 시 도움되는 10가지 고려사항
1. 상담할 때의 고려사항
전치부 임플란트 수술은, 술자나 환자에게 있어 극복해야 할, 많은 어려움이 있다. 우선, 같은 시술을 반복적으로 행해야 할 때가 있어, 이를 술자가 설명하고, 환자의 동의를 얻어내야 함이 어렵고, 술식을 행한 후에 다른 부위보다 치유시간을 오래 기다려야 함이 인내심을 요구하며, 고비용에 대한 환자의 부담이 그대로 술자에게 전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충분한 분석자료를 바탕으로 예측 가능한 시술을 계획 하고, 어려움을 함께 극복할 수 있는 인내와 용기가 술자와 환자에게 주어진다면, 어느 치료보다 만족감과 보람이 크다고 할 수 있겠다. 의사와 환자는 항상 함께 같은 방향을 간다. You go, We go.!!
2. 수술 전 준비 단계의 고려사항
상담 단계에서 환자와 충분한 대화를 하고, 환자의 기대치와 만족도가 술자의 그것과 부합되는지를 확인했다면, 전치부 수술시에 일어날 수 있는 예기치 못한 상황에 미리 대비를 해야 한다. 특히, 전치부 임플란트의 경우 상악골의 함요(Labial Concavity)와 충분치 못한 협설측 골의 두께, 그리고 자연치와 임플란트의 외형 차이에 기인하는 골의 천공등에 대해 적절한 대비를 해야 한다.(그림1) 근단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taper) 디자인의 임플란트 사용을 권하며,술자가 잘 사용하며, 다루기 쉬운 골유도 재생 재료(GBR)를 갖춰야 한다.
3. 마취(Anesthesia)할 때의 고려사항
치료에 들어갈 때, 대부분의 환자들은 보다 나은 결과를 상상하며, 약간의 기대를 갖는다. 대부분의 첫 과정이 국소마취 인데, 이 과정이 고통스럽다면 결과에 대해 부정적인 상상을 하기 쉽다. 도포마취와 가는 바늘 자입, 그리고 천천히 부드러운 마취액 주입으로 환자의 고통을 조금이라도 줄여 주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4. 절개(Incision)시의 고려사항
전치부 임플란트에 있어 이미 70%이상은 상악 중절치 혹은 측절치등, 단일치아 회복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에 따라 전치부 치간유두 유지 및 보호에 대한 결과가 성공과 실패를 좌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Tarnow(1992,JOP) 등은 자연치에서 치간골의 정점과 접촉점 사이의 거리가 5mm이하일때 치간유두가 100%, 6mm 일때 56%, 7mm 혹은 그 이상일 때, 27%이하 만이 존재한다고 했다. 정(2001,대한치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