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악동저 거상술 I.(Osteotome technique)
●김도영 원장
■학력
서울치대 졸업
■경력
김&전 치과의원 원장
대한치주과학회 보험이사
삼성 서울병원 치과진료부 외래교수
상악 구치부는 골질이 불량하며, 상악동의 존재로 인해 골량도 부족한 경우가 많다. 특히 성인이 되면서 상악동은 pneumatization이 발생해 상악동의 용적이 증가하면서 상대적으로 치조골의 수직적 양이 감소하게 된다.
특히 치아를 발거한 후 무치악 상태가 되면서 pneumatization의 양이 증가해 더욱더 임프란트를 하기에는 불리한 상황이 된다.
10mm 보다 짧은 임프란트의 식립은 보다 긴 임프란트를 식립한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성공률이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악구치부에서 이용 가능한 치조골의 골량을 증대하기 위해 상악동저 거상술이 시술되고 있다.
상악동저 거상술은 osteotome을 이용한 방법과 상악동의 측벽을 개방해 직접 상악동저를 거상하는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상악동 하방의 치조골의 분류에 따른 수술방법
Class A : 10mm 이상의 골량이 존재
osteotome을 이용한 최소한의 거상과 즉시 식립
Class B : 7∼9mm 골량이 존재
골이식을 동반한 osteotome을 이용한 4∼8mm의 상악동 거상과 동시에 즉시 식립
Class C : 4∼6mm 골량이 존재
subantral grafting sinus elevation 후 경우에 따라 즉시 식립하거나 6개월 후 임프란트 식립
Class D : 0∼3mm 골량이 존재
subantral grafting sinus elevation 후 6개월 후 임프란트 식립
Osteotome technique
Osteotome technique은 1994년 Summers가 체계적으로 정리해 발표했다.
1. Bony compaction osteotomy
2. Ridge expansion osteotomy
3. Sinus elevation : osteotome sinus floor elevation (OSFE)
bone added osteotome sinus floor elevation (BAOSFE)
4. Future site development
Bony compaction osteotomy는 osteotome에 의한 bone compaction은 typeIV 골질에서 골을 삭제하는 대신 골을 보존하면서 잔존골을 재위치시키는 것이다.
즉 osteotome에 의해 성기게 존재하던 골소주가 치밀하게 다져진다. 이것은 임프란트 식립 후 임프란트-골 계면에 접촉을 증가시켜 초기고정 뿐만 아니라 치유도 촉진시킨다.
ridge expansion osteotomy는 ridge crest가 좁은 경우 골삭제 없이 효과적으로 임프란트를 식립할 수 있도록 cortical plate를 확장시키는 것이다.
이 경우 concave한 tip보다는 convex한 tip이 더욱 효과적이다.
osteotome의 종류
tip의 형태 : convex, concave (Summers osteotome)
body의 형태 : straight, curved
tip의 형태에 따른 차이
tip이 convex한 형태는 수직적으로 압축하는 능력이 없으며, 단지 측방으로만 압축이 가능하다.
이에 반해 concave한 형태는 측방으로 압축을 하면서 수직적으로 골삭제를 동반해 치조골의 거상을 가능하게 한다.
이런 이유로 bone compaction이나 ridge expansion의 경우에는 tip이 convex한 것을 많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