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연자가말하는 Seminar Point]장상건(내이치과병원 원장)/ESTHETIC ZONE에서의 Immediate Implant Placement시 심미적 고려 사항을 위한 Implant의 구성과 조건

관리자 기자  2004.04.05 00:00:00

기사프린트

 상악 전치부의 치조골 구성은 치조골의 width에 비해 발치와의 크기가 다른 부위에 비해 더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혈류의 공급 또한 치근막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얇은 labial bone plate에 치조골과 연조직 그리고 상피부위를 서로 관통하며 더욱 풍부하게 분포하고 있다.


그러므로 상악의 전치부 발치는 곧 많은 혈류의 감소와 극단적 치조골의 remodeling을 유도하는 acute disuse window zone을 형성해 더 많은 양의 bone remodeling이 예고되는 부분이다.
상악 전치부의 인공치아 이식은 이러한 모든 부분을 보상하는 방법으로 인공치아를 선택해야 하며,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


이러한 상악 전치부의 즉시인공치아 이식을 위해 발치와이에 대한 인공치아의 수직적 위치는 인공치아의 표면처리의 경계부(rough and smooth border)의 위치를 one stage의 경우 bone crest 직하방(1.0~1.5mm)에 두어야 하며, two stage의 경우 abutment와 결합시 생기는 interface의 위치에 따라 골유착면은 항상 하방에 위치하므로 생물학적인 폭경이 one stage보다 더 길어진다.
그러므로 발치와 즉시 인공치아의 경우 치조골을 최대한 이용하는 방법은 one stage 방법이 더 유리하며, 치조골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방법이 된다.


이를 위해 인공치아의 표면처리 즉, rough and smooth surface의 구성은 자연치아의 epithelial attachment의 구성을 닮을 수 있는 구조로 양쪽 인접면에 위치하는 interseptal bone의 높이를 충족하는 border line의 구성과 순설측면의 marginal bone을 닮은 scallop line과 일치하는 경계부를 갖는 r/s boeder 형태가 치조골을 최대한 수용하는 이론적 방법이 될 수 있다.
또한 인공치아 이식 후 labial bone의 두께는 1.5~2.0mm는 확보해야 load에 대한 적응할 수 있는 bone remodeling rate를 유지해 장기간에 걸친 치조골의 흡수를 최소화하므로 건강한 연조직 유지을 위한 기본조건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인공치아를 심을 때 최대한 순측면의 치조골을 유지시킬 수 있는 방법이 고려되어져야 한다.
결론적으로 향후 인공치아의 발전은 상악의 전치부 결손 시 하나의 치아를 회복하는 쪽으로 발전하리라고 믿어지며, 이러한 노력을 위해 one stage 방법과 동시에 심미적 처리는 원만하고, 치조골은 최소한 흡수되고, 순측의 치조골은 최대한 보호되며, 상부 구조와 결합을 위해서는 no-loosening을 실현하는 형태의 인공치아가 향후 인공치아 발전의 숙제가 될 것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