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anemark 등에 의해 성공적인 골유착이 발표된 이후 implant 치료는 무치악 및 부분무치악환자에서 높은 성공률을 보여왔다. 초기의 성공의 조건들이 주로 기능적인 면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기존의 고전적 보철물의 성공률을 넘어서는 장기간의 연구들이 계속적으로 발표됨으로써 성공의 조건은 기능적인 면을 넘어서서 심미적인 면까지 포함하는(Smith 1989) 보다 포괄적인 개념으로 바뀌고 있다.
초기의 Branemark의 개념이 청소성을 강조한 무치악 환자 중심의 Hybrid 개념의 보철물이었다면 현재의 개념은 Ridge lap 개념을 거쳐 치아의 Emergence profile을 재현하는 부분 무치악 중심의 보철물의 개념으로 바뀌고 있다. 특히 Garber가 Restoration-driven implant의 개념을 발표한이래 implant의 심미적인 수복은 implant 성공의 가장 중요한 조건이 돼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성공적인 implant의 심미적인 수복을 위해서는 implant와 주위 조직간의 생리적인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1990년대 초부터 시작된 Lindhe group등 일련의 연구들에 의해 implant 주위조직의 구조 및 성분이 밝혀졌다. 이들의 연구를 통해 implant주위의 조직들도 치아에서 형성되는 Biologic width와 같은 Biologic width를가지고,(Berglundhe 1991) implant의 종류(Abrahamsson 1996)나 submerged의 여부(Herman 1997), loading의 여부(Cochran 1997)에 관계없이 일정하며 그 Biologic width에 의해 치조골능의 위치가 결정됨이 밝혀졌다. 또한 Herman의 일련의 연구들에 의해(2000) biologic width의 시작점이 micro-gap임이 밝혀졌다. Tarnow 는 1992년 보철물의 contact Point와 치간 치조골능의 위치관계를 밝힌 이래 implant 사이의 bone의 수평적, 수직적 관계를 밝혀(2000) 많은 임상가들이 치간유두의 위치를 예측해 심미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됐다.
또한 외부의 trauma에 대한 조직의 반응을 결정하는 Biotype에 대한 이해(Weissgold,1999)와 치조골능과 치은변연의 관계에 대한 이해(Kios,1994)가 필요하다. Thin scalloped type의 치주조직과 thick flat type의 조직에서 발치및 수술후에 나타나는 퇴축양의 차이를 먼저 예측하고 치료에 임하는 것이 심미적인 결과를 얻는 시작점이다.
특히 최근 심미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 시행되는 Immediate placement-Immediate provisionalization에서는 특히 예측성을 높이는데 있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와같은 이론적 배경을 통해서 가장 이상적인 implant의 식립위치를 Restoration-driven implant의 개념과 micro-gap의 위치 및 implant 간의 위치 관계등 을 통해 설정할 수 있게 됐다. Kois는 5가지 진단 key를 통해 implat의 이상적 위치를 설정하는 방법을 제시했고(2001), 3차원적인 implant의 위치가 여러 임상가에 의해 구체적인 수치로 제시됐다.(Spear1999, Saadoun 1999)
그러나 이와 같은 Biologic factor를 모두 고려해도 implant 사이의 papilla를 심미적으로 재생해 주는데는 많은 제약이 있다. 그중 가장 중요한 요인 하나가 implant top부위의 형태 문제이다. Implant의 식립위치가 협측 치관의 변연을 기준으로 결정되지만 implant의 형태는 치아의 scalloped 된 형태를 가지지 못하고 flat한 형태를 가지므로 치간 치조골능의 장기적인 상실을 초래해, 설사 조직 증대술을 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더라도 장기적으로는 치간유두의 손실을 초래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런 이유로 최근까지 scalloped abutment로 이 문제를 해결하려 하였으나 micro-gap의 문제점으로 효과적이지 못함이 밝혀졌다.
그러므로 최근 scalloped esthetic implant의 개발이 활발해 지고 있는 추세이다. Scalloped esthetic implant는 치아의 모양과 같이 scalloped 형태로 돼있어서 치간 치조골능의 흡수를 막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고 자연치와 같은 치관 변연의 형태를 재현 시켜 줄 수 있어서 보다 심미적인 결과를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