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공중보건치의 5년후 부족 사태 우려 치전원 시행·여학생 증가로 중장기 수급방안 필요 지적

관리자 기자  2004.04.19 00:00:00

기사프린트

내년부터 치의학전문대학원제가 본격 시행됨에 따라 향후 전국 보건(지)소에서 근무하는 공중보건치과의사 수급이 대폭 감소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어 이에대한 정부의 종합적인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치협 치무위원회(위원장 이병준)는 지난 13일 치협 정기이사회에서 공중보건치과의사의 중장기 수급방안에 대한 보고에서 현재의 인력구조로 가면 오는 2009년도부터 보건(지)소에 배치되는 치과의사 공보의수가 부족하게돼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병준 치무이사는 “치의학전문대학원 제도 시행, 치과대학 재학생의 고령화 현상, 여학생 비율 증가 등으로 치의학전문대학원 졸업생이 배출되는 2009년의 경우 인턴지원자를 제외할 때 45명의 치과공보의가 부족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같은 수치는 치전원 졸업생 430명과 치대 졸업생 352명 등 782명의 졸업생 중 인턴 모집인원 293명을 제외하고 치대졸업 남학생수를 기준으로 가능한 공보의 수를 예상한 것. 2010년에는 35명이 부족하다는 추계가 나왔다.


그러나 치협은 이같은 치과의사 공보의 부족사태가 자칫 치과의사 인력부족이라는 오해를 불러 일으켜 대학을 증설할 명분을 줄 우려가 크고 부족한 공공구강의료를 채우기 위해 정부가 공공보건부문을 민간에 떠맡기는 등 불필요한 의료간섭을 할 우려가 커 벌써부터 긴장하고 있다.
치무위원회는 이에대한 대책으로 공공구강보건을 전담할 전국적 거점조직을 갖추는 것이 무엇보다도 급선무라고 강조하고 거점구강진료소 설치 후 공중보건 치과의사의 지역순환근무제를 시행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또 치과의사 감독하에 공공구강의료업무 일부를 치과위생사에게 위임하는 방안과 치전원 진학예정자에 대한 병역특례제도를 시행하거나 치전원 졸업자에 대해 일본의 경우같이 일정기간 공공구강의료기관에서 임상근무하게 하는 방안도 고려할 것을 제시했다. 또한 보건소에 치과의사 직급을 상향조정하거나 보건소장 취임 기회를 넓혀 여자치과의사 고용을 활성화 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이날 이사회에서 김종열 부회장은 “치과의사 공보의 부족문제가 오히려 보건소에 치과의사 정규직을 늘리는 기회가 될 수 있다”며 “보건소에 정규치과의사를 더 배치되고 복지부 구강정책과에서도 업무를 보다 확대할 수 있는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고 제안해 주목을 받았다.


치협은 이날 이사회에서 논의된 대책 방안 등을 토대로 보건복지부 등 정부기관에 중장기적인 공중보건치과의사 수급방안 마련을 촉구하는 공문을 전달할 방침이다.
이윤복 기자 bok@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