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연자가말하는 Seminar Point]Dr. Tanaka

관리자 기자  2004.04.19 00:00:00

기사프린트


TMD, OCCLUSION & RESTORATIVE DENTISTRY SESSION1


1. Bite
1) CR, CO, MIP의 새로운 정의: CO는 CR상태에서 치아 접촉위, MIP는 이전 CO 개념
2) CR 체득법 세가지 중 leafgauge 사용시 문제점:disc 가 compression돼 bone remodeling 될 가능성이 높아 가능하면 사용하지 않는다.
3) condyle eminence 의 각도
①해부학적 평균값 36도(이동 범위는 condyle head의 5~7mm)
②반조절성 교합기:정상환자는 30도, 이갈이환자나 worn dentition은 20도로 사용.

 

2. Pain
1) centrally mediated pain :(central sensitization)
오랜기간 pain을 느끼다 원인을 해결하더라도 brain cortex에서 말초로 보내는 pain 정보가 지속돼 pain이 지속되는 것. 이 경우는 pain이 CNS level에서 시작되며, splint나 교합조정은 효과없다.
2) Pain differentiation
vascular : constant(migraine) analgesics/no.NSAIDS/no splint/no effective
neurogenic : stabbing sharp(3차 신경통) analgesics/no.NSAIDS/no splint/no effective
musculo skeletal:dull achy sore analgesics/yes.NSAIDS/yes splint/very effective
*migraine headache :아침기상시 pain 시작, 2~3일간 지속, 어둠속에 숨고 싶음. 시각의 연속성이 끊어짐
*TM pain 있는 환자-먼저 pain을 medication과 splint로 해결후에 교합을 체크해 교합조정

 

3. TMD
1) TMD의 원인
trauma, 전신질환, other medical disorder, deflective occlusal contacts and occlusal parafunction, 이갈이 습관
2) Anatomy of TMJ
condyle이 fossa에 완전히 들어가면 최대감합 crest of eminence 근처에 위치시 최대개구
*snoring device의 문제점: 하악을 ClassⅢ 위치로 장시간 위치
수면시간동안 fossa에 혈관확장으로 blood가 차므로 condyle 이 제자리로 들어가려면 혈관이 눌러져 pain이 발생/disc가 수면시간동안 compression되므로 remodeling 및 perforation 발생
3) TMJ arthrokinematics
개구시 anterior displacement with reduction의 경우 병변이 있는 쪽으로 하악의 변위가 일어나다가 reduction이 되면서 다시 midline으로 향해 개구가 진행이 된다. 이런 상황이 지속이 되면 disc의 remodeling이 일어나게 되고 변위의 정도가 줄어들게 된다.
*closed lock: condyle 전방으로 disc가 위치, 걸려 있어서 개구불능의 상태
*open lock: crest of condylar eminence를 지나 condyle이 위치시 걸려서 폐구불능의 상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