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프란트 치료가 restorative dentistry에 적용되면서 기존의 통상적 보철치료에 의존하던 restorative dentistry의 개념이 많이 변화하고 있다. 기존 통상적인 보철물의 예후는 이차우식 및 치주질환 때문에 예후가 좋지 않았으나 임프란트 치료결과는 훨씬 우수하게 여러 연구에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치료계획을 결정하는데는 다음의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1.경제성 2.신체적 정신적 상태 3.치주상태 4.structural compromises, 5.anatomic compromises 6.ability to wear removable.
임프란트가 보철학에 이용되는 부분은 기존의 총의치 유지, 최소의 치아삭제, 부적절한 지대치의 사용 감소, 기존의 가철성 보철물을 고정성으로 교체, 생역학적인 개선 등이 있다. 임프란트의 사용은 예측 가능하며, 환자의 만족도, 삶의 질, 저작능력 증가를 가져왔다.
구강수복 치료시 Dr. Phillips는 기존의 face bow 대신에 Kois dento-facial analyzer를 이용했으며, 이것을 통해 esthetic plane을 결정하고, model을 mounting 했다. 주로 전치부의 경우 Empress 2 crown을 주로 했고, 무치악 부위는 ovate pontic을 형성하여 심미성을 극대화 했다.
Periodontal prosthesis은 4종류로 분류되며
1. retained root,
2. cantilever prosthesis
3. coping prostheis : removable, fixed에 대해 다뤘으며, KONUS type의 denture에 대해 다뤘다.
4. esthetic consideration :
이러한 치료시 조직이 많은 경우 1)orthodontic/orthognathic 2)osseous resection - esthetic surgical guide 이용, 3)gingivectomy- 한쪽 canine부터 반대측 canine까지 floss silk로 연결해 visiualization하여 시행했다. 조직이 적은 경우 1)forced eruption(tissue level까지 따라서 올라옴), 2)soft tissue graft, 3)hard tissue graft(발치 후 socket preservation 위해 bone graft를 하고 그 위에 temporary로 상부를 막고 ovate pontic 형성을 도모했다.)
그 외에 structually compromized teeth를 post core로 수복할 때 1.5mm ferrule을 강조했고, reisin bonding agent를 사용해서 resin core build-up을 할 것을 추천했다. 그 외에 fiber post로는 glass fiber인 Fiber White에 관한 증례를 설명했다.
single tooth implant 수복시 고려사항은 implant의 orientation, soft tissue, space를 고려해야 하며, 각각 mesio-disital, bucco-lingual, apico-coronal position이 좋지 않은 경우의 보철에 대해 일일이 증례를 제시하며 설명했다. 그리고 기존의 healing abutment에서 permanent prosthesis로 교체시 발생하는 gingival recession을 설명하는 ARC concept에 대한 언급했다.
각각의 풍부한 증례에서 전반적인 보철 치료 개념 및 치료계획과 치료방법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된 명강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