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연자가말하는 Seminar Point]John. Y. Kwan 박사 (UCSF 치주과 임상교수)/Minimally Invasive Periodontal Therapy

관리자 기자  2004.05.03 00:00:00

기사프린트

Minimally invasive treatment는 의학과 치의학의 새로운 화두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미 여러 분야에서 널리 퍼져있는 것이 사실이다.


일반적으로 환자는 치주수술을 겁내고 있기 때문에 비외과적 치주처치는 외과적 치주처치에 비해 여러 가지 매력을 갖는다. 염증치료를 위한 비외과적 치주처치의 효과는 이미 과학적으로 입증된 것이고, 실제로 최근 10년 동안 외과적 치주처치는 줄어들고 있으며, 반면에 비외과적 치주처치가 증가하고 있다는 보고가 있지만, 비외과적 치주처치는 술자의 감각과 경험에 의존하는 술식이라는 한계를 극복하기는 어려웠다.


연자는 이런 문제점을 Endoscope를 이용하여 극복하고 있다. 즉 새롭게 고안된 micro ultrasonic tip을 이용한 micro ultrasonic debridement의 기법에 periodontal endoscope을 첨가해, monitor상에서 치은연하부의 상황을 직접 보면서 debridement을 시행하므로 보다 정확한 기구조작을 가능하게 해 술자의 감각과 임상경험에 의존하던 과거의 치료법을 보다 객관적으로 시행할 수 있도록 발전시킨 것이다.


이렇게 된다면 단순히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시행하는 access flap operation의 의미는 퇴색된다.
미국치주학회의 position paper에도 이미 소개됐듯이 ultrasonic instrument는 hand instrument와 비교해 임상적 결과, plaque 제거, calculus 제거, endotoxin 제거의 면에서는 같은 결과를 보이고 있으며, furcation과 pocket base로의 접근은 오히려 수용기구보다도 우수하다.


치주질환의 원인인 치은연하부의 biofilm을 제거하기 위해서 과거에 생각한 것과 같은 큰 힘이 필요하지 않다고 밝혀지면서 pocket base로의 접근이 용이한 기구가 치주치료에 바람직한 기구이며, 이것이 바로 치은연하부의 처치를 용이하도록 새롭게 고안된 micro ultrasonic tip이다. 또한 ultrasonic instrument는 cementum 제거를 피하려는 현대 치주학의 개념에도 부합된다.


그러므로 본 강의에서는 이미 치은연상부의 치석제거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ultrasonic scaler의 물리적 특성과 이를 치은연하부에 사용했을 때의 임상적 효과 및 periodontal endoscope에 대한 이해를 통해 micro ultrasonic debridement에 대해 소개하려고 한다.
<정리 : 이영규 대한치주과학회 학술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