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차원적인 BIOCR gothic arch tracer를 이용한 BRUXISM 환자의 치료 증례
●곽흥구 원장
■학력
조선치대 졸업 및 보철과 박사
미 UCLA치대 보철과 및 구강생물학과(임프란트) 수료
■경력
대한치과턱관절기능교합학회 이사
BIOCR tracer개발 및 대표 연구원
현 한터치과 공동원장
Introduction
환자의 생리적인 하악골 운동 중에 기능적인 운동이 있는 반면에 비기능적인 운동(Parafunctional)인 이갈이(Bruxism)와 이악물기(Clenching)등이 있으며, 이러한 비기능적인 운동은 정상적인 기능운동에 비해 구강악계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어떠한 치과치료의 결과에 지대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이갈이는 중추성(Central)과 말초성(Peripheral type)으로 분류되며 교합은 말초성 원인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갈이의 치료법으로 치과적 치료법, 정신과적 치료법, 약물치료법 및 물리치료법 등 다양하지만 parafunction의 원인이 저작패턴의 변형과 관련이 있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어서 아직 원인과 치료법에 명확한 결론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교합이 원인이라 추정됐던 환자의 치료 증례를 소개하면서 그 치료과정과 정확한 교합조정법의 필요성을 소개하고 2002년 12월 2일부터 2004년 2월 8일까지 14개월에 걸쳐 Stabilization splint와 IGAT를 이용한 7차례의 BIOCR Tracing 결과를 토대로 소개하고자 한다.
치료 개념 및 치료 과정
3가지 의문점에 대한 해결 방법으로 Stabilization Splint와 3차원적인 IGAT(상품명:BIOCR, BIOCR사, KOREA)를 사용해 접근했다
1. Bruxism(야간성 이갈이)의 원인 중에 교합의 관련성에 대한 명확한 결론이 아직 없다. ---Splint Therapy (교합 이개 및 근 이완)로 진단 및 치료
본 환자의 경우는 3개월 동안 교합안정장치(Stabilization Splint)장착을 통해서 Peripheral type의 교합장애 원인으로 분류돼 야간성 이갈이가 해소돼서 교합장애적인 원인을 제거하기 위해서 교합조정술을 시행했다.
2. 교합장애의 진단을 위한 중심위(CR)채득 방법에 대한 명확한 결론이 아직 없다. ---BIOCR GAT을 이용해 정상화된 측방저작운동로의 정점을 중심위로 설정
중심위 채득 방법 중 한가지인 Central Bearing Point Technic인 구내묘기기록장치(Intraoral Gothic Arch Tracer:GAT)는 치아의 교합이 배제된 상태에서 술자의 관여 없이 환자의 순수한 근신경계와 악관절 복합체의 형태가 복합돼 얻어지는 생리적이고 기능적인 방법이다. 유치악 환자에서는 환자의 접번운동로에 일치하도록 기록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3차원적인 BIOCR tracer를 사용해 CR registration bite의 두께를 최소화 함으로써 교합기와 인체간의 교합의 오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약 80여년 동안 중심위 채득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있어 왔지만, 대부분이 접번회전로를 위주로한 접근 방법이었다. 하지만 치과적 관점에서 중심위 설정의 가장 큰 목적은 환자로 해금 최소의 저작력으로 최대의 저작효율을 얻기 위해서는 생리기능적인 중심위 채득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서 저자는 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