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성 보철에서 장착 과정의
점검 사항과 교합 조정에 주의할 점
●심준성 교수
■학력
연세치대 졸업
연세치대 병원 보철과 수련
■경력
연세치대병원 연구강사
영국 Manchester 대학교 PhD. 취득
현재 연세치대 보철과 조교수
수복치료는 치과의 가장 고유한 영역 중의 하나이며 현재도 dental implant와 CAD/CAM 등 새로운 소재와 기술의 적용으로 영역을 넓히며 수준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는 분야이다. 인상채득에서 주조까지, 음형과 양형의 제작이 반복되는 간접법에 의한 수복물의 제작이 주종이라고 할 때 고정성 보철 치료의 성공에는 이러한 간접법이 가지는 부정확성의 가능성과 고정성 보철물에 요구되는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기능성을 위한 높은 수준의 정밀성 사이의 간극을 줄이기 위한 임상가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이번 글에서는 완성된 기공물이 기공사에게서 전달된 후 시적 시간을 줄이기 위한 사전 검사와 장착 과정의 점검 사항과 술후 환자의 불편감을 최소화하기 위해 교합 조정시에 주의할 점들에 대해 짚어 보고자 한다.
기공물의 환자 진료 전 검사
제작된 기공물의 적합성에 대한 최종적인 확인은 구강내에서 이뤄져야 하지만 구강 내에서의 조정은 조작에 제한점이 많으며 귀중한 chair time을 소비하게 되고 다음 약속 환자의 진료 시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구강내에서 조정이 거의 필요 없는 수복물의 시적시에 받는 상쾌함과 즐거움을 누리기 위해서는 모든 임상 과정이 중요하겠지만 시적 전의 몇 가지 검사로도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1) 작업 모형에만 잘 맞는 기공물
오늘날은 기공실을 운영하는 임상가라고 하더라도 모든 기공 과정을 운영하기에는 보철 기공 장비나 재료가 고가이고 다양해져서 전문적인 외부 기공 시설의 이용은 필수적이다. 간접법에 의한 기공물 제작의 첫 단계는 인상 채득이므로 임상 환경과 선호도에 따른 점검이 필요할 것이다. 먼저 생각할 것은 인상체 자체를 기공소로 보내는 경우인데 이 때는 장기적인 크기 안정성이 우수한 재료를 선택할 필요가 있겠다. 인상재를 새로 바꾼 경우라면 상품 설명서에 나타난 사용법과 물성을 잘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내가 진료하는 치과 환경에서 어떤 성질을 보이는 지를 먼저 확인하고 나서 전면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는 진료실 마다 온도나 습도 조건이 다를 것이고 모형 제작까지의 경과 시간이나 보관 환경이 상이할 것이기 때문이다. 요즘 많이 사용되는 실리콘 재료는 조작성과 물성을 개량한 제품들이 계속 소개되고 있고 필자의 경험으로도 제품마다 장점이 다르고 품질에도 다소 우월이 있는 것 같기 때문이다.
2) 손타지 않는 알지네이트 인상
또 하나 간단하나 간과하기 쉬운 오차의 원인은 대합치 모형이다. 교합 검사는 대합치와의 관계이고 교합 오차는 치료 후 단기적인 편안함에 중요한 요소이므로 정확한 대합치 모형의 제작은 쉽게 개선되고 효과를 바로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다. 알지네이트는 최종 인상재와 달리 water-powder 비율을 무시하기 쉬운데 진료 보조 인력의 바뀜이 잦은 시기에는 "손"타지 않는 자동 혼합기의 사용 혹은 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