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정부 투자 지원 미흡 치의학산업 육성 최대 걸림돌

관리자 기자  2004.06.17 00:00:00

기사프린트

2002년 연구개발비 4천억원 불과
미국·일본 등 선진국에 크게 뒤져
김춘근 복지부 구강정책과장 주장


보건의료산업 분야의 연구개발을 위한 정부의 미흡한 투자 지원이 ‘치의학 산업 육성’에 최대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또 치의학 산업의 진흥을 위해서는 ▲복지부 중심으로 지원체계를 통합한 연구개발 지원 확충 ▲바이오, 장기 등 미래 유망분야와 접목한 치과산업 집중 투자 ▲산학연 정부간 협력체계구축 ▲규제완화 및 제도합리화 ▲의료시장개방대응 및 해외진출 등의 지원이 절실하다는 주장이다.
김춘근 보건복지부 구강정책과장은 보건산업벤처협회(회장 박인출) 주최로 지난 10일 강남 퓨처센터에서 열린 ‘치과산업 육성을 위한 민·관 초청 포럼’에 참석, 이같이 밝혔다.


김 과장은 이날 발표를 통해 “지난 2002년 우리 나라의 전체 연구개발 예산은 총 5조원이었음에도 불구, 보건의료 부문의 연구개발비는 약 7.9%에 해당하는 4천억원에 불과 했다”고 지적했다.
이는 미국이나 영국 등이 전체 연구개발비의 24%와 15%를 각각 보건의료부분의 연구개발에 투자하는 것과 대조되는 수치다.


김 과장은 또 “치의학 산업의 진흥을 위해서는 미국의 NIH나 일본의 후생노동성의 경우처럼 우리 나라도 복지부를 중심으로 보건의료부분의 연구지원체계를 통합하고 연구개발비 지원을 대폭 확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정통부 중심의 정보통신분야 산업정책에 연구개발에 따른 모든 지원이 집중이 되고있는 실정이다.


김 과장은 특히 “향후 10대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인 바이오, 신약 등과 E-의료, HT+IT 원격진료 등 미래성장 유망분야와 접목한 치과산업에 집중 투자하고 수출을 위한 해외 진출 기반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김 과장은 “치의학 관련 산업의 육성을 위해서는 산학연 정부간 협력체계를 구축해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고 각종 규제완화 및 제도합리화, 의료시장개방에 대한 대비와 해외진출 지원을 활성화하는 한편 국제보건의료발전 재단 등과의 국제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은정 기자 human@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