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 병의원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시행 되어져야 할 파트중 하나가 실질적인 의료 통계 작업 입니다.
1년을 보고 만들어진 병원이 아닌 이상 다년간의 경험과 시행착오에서 얻어진 여러 데이터를 토대로 병원의 전체 예산 및 수익을 그려 볼 수 있다면 그것만큼 살림살이를 잘하는 병원이 어디 있겠는가?
병원마다 그 시스템에 맞는 통계를 적용하겠지만 대략 진료실내 통계(임상적 통계), 원무과 통계, Implant 환자통계, 기공물 통계, 기계장비 및 재료 통계가 기본적으로 이뤄지고 있습니다.
모든 통계는 주별 혹은 월별 단위로 그 병원의 시스템에 맞게 적용하고, 각 부분별 Tool에 대한 정리를 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진료실내 통계:신환 및 구환수(연령별, 성별, 지역별), 환자성향 및 치료동의율, 예약준수율, waiting율, 환자이탈율, complain율, 기공물 만족도 및 re-make율, 진료중단 환자 및 re-call율(약속불이행 환자, 발치후 보철 대기 환자, 치주환자, Implant 환자, 보철환자, 미수환자 )등 입니다.
2. 원무과 통계:지역별 환자분포도,인지도 조사, 환자동의율(Making율), 고객 증가율, 시술별 환자분포, 기본통계(매출 달성률, 경상 이익율, 수익율, 병원 가동률 등), vip환자(충성고객), 고객 만족도 등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3. Implant 환자 통계:치료 동의률,시술별 통계(성별, 연령별, 시술부위별, 시술내용별, 월별 년간 통계), 사후관리 및 re-call 통계가 필요합니다.
4. 기공물통계:기공물만족도(기공물분류-Contact,Margin,Contour,Shade, Bite별 상, 중, 하), 월별 기공물 통계(기공종목별, 진료실별, 기공소별 통계, re-make율)및 원인분석, 미set 기공물 및 re-make 기공물 통계, 폐금 관리 및 gold 통계 등 입니다.
5. 기계장비 통계:현 보유량(파트별, 종류별), 수익비례 장비 구매율,사 용량 및 소모량, 장비 이력 카드 총괄(수리 및 보수량 확인)등 입니다.
6. 재료 통계:재고량 조사, 재료소모량 및 누수량 통계(예-진료수 비례 rubber, bur, needle, 리도카인 소모량), 진료실별 월 주문량 통계 등을 볼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기술한 기본적인 것과 현 병원 실정에 맞게 세분화된 통계자료를 준비 한다면 좀 더 정확하고 안정적인 병원으로 성장해 갈 것이라 믿습니다.
하루가 1년이 되고, 10년이 돼는데 통계 자체가 성공의 주는 아니겠지만 꼭 정확하진 않더라도 적어도 불필요하게 소모되어지는 것을 찾아서 발전적인 -예를 들어, 꼭 필요한 기자재 구매 및 직원의 복리후생 등-부분으로 돌릴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이는 한 사람 만이 아닌 전체 스탭의 관심과 노력에서 얻어질 수 있어야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