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참관기]피코스 박사 초청 강연회 (상) 김형진 (서울아산병원 보철과) “체계적 지식 정리 좋은 기회였다”

관리자 기자  2004.07.08 00:00:00

기사프린트


임상에서 많은 경우 치조골의 과도한 흡수로 인해 임프란트라는 치의학이 탄생시킨 최고의 치료를 시술받을 수 없는 그래서 어쩔 수 없이 의치를 장착해야 하는 많은 안타까운 경우들을 마주할 때가 있다. 물론 GBR을 이용하거나 Distraction osteogenesis 등의 방법이 있으나 membrane의 노출 문제와 D.O.의 경우엔 시술상의 어려움으로 인해 많은 책과 문헌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고하는 Block bone graft에 자연 관심이 가지만 이 또한 시술에 막연한 두려움과 불안감으로 주저해왔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던 차에 7월 2일 강남성모병원 2층 대강당에서 있었던 대한구강악안면임프란트학회 주최 ‘Dr. Michael A. Pikos 초청강연회’에 참가, 그의 명쾌한 강의를 듣고 Block bone graft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을 정리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됐다.


동시통역으로 진행된 이날 강의는 ‘Achieving Optimal Implant Placement Using Mandibular Block Autografts. A Biological & Biomechanical Approach to Avoid Functional & Ethetic Pitfalls’라는 대 주제하에 Chin graft와 Mandibular Ramus graft의 적응증, 수술 protocol, 그리고 여러 임상 case 등 소주제 중심으로 진행됐다.
간단한 introduction 후에 autobone block graft의 생역학에 관한 강의가 이어졌다. cortical bone과 cancellous graft에서 repair의 차이점 등이 소개돼 GBR과 Block bone graft의 차이점이 요약됐다. 그와 관련된 많은 사진 또한 제시됐다.
그 뒤로는 Block bone graft의 구강내 가장 중요한 공여부인 Symphysis와 Ramus에 관해 강의가 진행됐다.


Symphysis block bone graft시 Dr. Pikos가 제시하는 indication은 Horizontal 로 4-5mm의 bone이 필요하거나 vertical로도 최대 6mm 정도의 bone이 필요할 때다. 수술시 인접치근과 mental nerve에서 5mm씩 거리를 두고 하악의 inferior border에서 4mm이상의 거리가 필요함도 설명됐다. incision방법에서는 술후 side effect의 경중을 기준으로 해 vestibular incision보다는 intracrevicular incision을 강력히 추천했다. Symphysis 부분에서는 신경침범의 문제가 덜하므로 좀 더 많은 양의 골이 필요시 block bone graft의 훌륭한 donor site가 됨을 강조했다.
Ramus Buccal shelf block bone graft는 horizontal, vertical로 3∼4mm 정도의 augmentation이 필요시 적응증이 된다. Ramus 주변에는 inferior alveolar nerve의 존재로 인해 702L fissure bur를 oblique ridge에서 3∼4mm 띄우는 등 좀 더 세심한 수술 protocol이 제시됐다.
<다음호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