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르면 오는 2006년부터 개인병력이 전산화 돼 관리될 전망이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25일 개인 병력 진료전산화를 조기 구축키로 하고 ▲질병 별 코드화와 ▲병원용어 표준화 ▲각 병원간 개인진료 자료를 교환할 수 있는 전송표준망 구축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병력 진료전산화란 환자의 모든 질병진료정보 등이 컴퓨터에 입력돼 국내 어떤 병원을 가더라도 개인자료를 확보해 치료를 받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개인자료에는 각종 진료기록과 약 처방, 의사소견 등 환자의 건강상태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담도록 할 예정이다.
복지부는 “현재 서울대 분당병원이 진료전산화를 이용해 ‘종이 없는 병원’을 실현하고 있다”면서 “2006년도부터 일부 대형병원을 중심으로 시범실시 한 후 단계적으로 전국병원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만약 진료 전산화가 전국 병원에 완료되면 불필요한 진료가 사라지고 환자가 의사에게 자신의 몸 상태를 설명하는 시간도 감소, 짧은 시간 내에 질 높은 진료가 가능할 전망이다.
박동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