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고령화 속도가 세계 주요 선진국에 비해 최고 4년 이상 빠른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노동연구원이 지난달 25일 발표한 ‘퇴직연금제 도입을 위한 최종보고서"에 따르면 99년 이후 65세 이상 노인 비율이 전체 인구의 7%를 넘어서 고령화 사회로 진입했으며 한국은 23년 만인 오는 2022년 전체 인구의 14% 돌파가 예상된다.
국제연합(UN)은 만 65세 이상 노인비율이 전체 인구의 7%를 넘으면 ‘고령화사회"로, 14%를 넘어서면 ‘고령사회"에 각각 진입한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특히 한국이 고령화사회에서 고령사회로 전환시 걸릴 예상시간은 23년으로 프랑스 115년, 스웨덴 85년, 미국 75년, 영국과 독일 각 45년, 일본 26년 등에 비해 최고 4배 이상 빠르다.
이에 따라 우리 나라 경제활동인구(15~64세) 100명이 부양해야 할 노년층의 경우 2003년에는 10명 수준이었던 것이 오는 2030년에는 30여명으로 급증, 근로자 3~4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해야 할 것으로 전망 됐다.
박동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