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식약청-제약사 담합의혹 밝혀라” 시민단체, PPA 감기약 관련 강력 촉구

관리자 기자  2004.08.09 00:00:00

기사프린트

뇌졸중 유발과 유의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명난 페닐프로판올아민(PPA) 성분 함유 감기약 파문과 관련, 경실련 등 시민단체들이 식약청과 제약업체와의 담합 의혹을 강하게 제기하고 나섰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지난 3일 성명서를 통해 “식약청의 늑장 대처는 제약사의 반발에 의한 것"이라며 담합 가능성을 주장하며 “부작용이 우려되고 대체성분도 존재하는 의약품 유통을 용인한 것은 제약업계의 반발 때문에 국민을 임상실험 대상으로 삼은 것이나 다름없다"고 맹비난했다.
녹색소비자연대도 지난 2일 “식약청은 소비자의 안전보다 제약사의 형편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는 것 아니냐"며 “업계와 일정한 타협점을 찾고 있었던게 아닌가 하는 의혹이 든다”고 지적했다.
건강세상네트워크도 성명서를 통해 “식약청이 FDA 발표 후에도 PPA 성분 제품들의 생산을 재개할 수 있도록 한 배경과 절차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이 과정에서 제약사의 압력과 로비는 없었는지 철저히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식약청은 지난 3일 공식 해명자료를 통해 “PPA는 일부 제약사만이 생산하는 의약품으로서 이 제품을 지속적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해당 제약사가 제품의 안전성을 입증해야 하는 수익자 부담 원칙에 따라 연구비를 부담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식약청의 해명에도 불구, 담합 의혹은 쉽게 수그러들지 않을 전망이다.
신경철 기자 skc0581@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