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정기춘 원장 성공경영(38)]퀄리티를 올리기 위한 치과의 환경 정비(3)

관리자 기자  2004.11.01 00:00:00

기사프린트

치과의 퀄리티를 업그레이드하기 위해서 먼저 현재 자신의 치과에 대한 냉정한 진단이 필요하다. 1년에 1~2회 정도 본원의 환자를 위한 치과서비스의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퀄리티 향상을 위한 부분들을 점검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음 아래에 치과 서비스 실태 조사를 위해 대략 9가지 항목으로 조사 대상과 항목을 선정해 보았다.

 

3. 위생과 환경상태에 관하여 점검하라
1) 환자에게 시각적, 청각적, 후각적으로 노출된 부위의 냄새 및 청결상태를 점검한다.
2) 전체적인 느낌과 환경에 관하여 환자 입장에서 점검한다.
원내에서 환자에게 행하는 커뮤니케이션은 환자에게 치료를 설명하고 대화를 하는 것만이 전부는 아니다. 가령 환자가 치과 내에 있는 화장실의 청결하지 못한 상태를 보았다거나 악취를 맡는 경험을 했다면 이것도 광범위한 의미의 커뮤니케이션의 실패로 간주해야 한다.
대기실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정돈 되지 못한 대기실이나 깨끗하지 않거나 날짜가 많이 지난 잡지들도 환자에게는 커뮤니케이션의 실패다. 이처럼 환자가 치과 공간에서 느끼고 보고 냄새 맡는 일련의 모든 과정들을 환자 입장에서 점검할 필요가 있다.
가급적 체크 리스트를 작성하여 빠짐이 없이 일목요연하게 점검해보도록 한다. 따라서 자신의 의원의 사정에 맞는 점검 시스템이 필요하다.

 

4. 진료실을 점검하라
1) 환자들의 프라이버시를 존중하는 분위기가 되어있는지 점검한다.
2) 진료실에서의 공통된 오피스 랭귀지가 사용되고 있는지 점검한다.
3) 감염예방에 적절히 대처하는지 점검한다.
4) 진료준비 및 정리가 원활하게 되어가는지 점검한다.

 

● 환자들의 프라이버시를 존중하는 분위기가 되어있는지 점검한다.
    병원 사정상 상담을 접수대나 체어 사이드에서 할 수 밖에 없다 하더라도 특별한 고객을 위해서는 적절한 프라이버시를 존중하는 시간과 장소가 필요하다. 이 때는 원장실을 이용한 상담과 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상위 환자의 고객(소개나 기타 원내에서 정해 놓은 중요환자 카테고리에 있는 환자들)을 위해서는 오픈된 대기실이나 바로 옆 체어에서 보고 들을 수 있는 문제가 있으므로 별도의 상담실이 없더라도 원장실을 이용한 방법을 충분히 고려해 볼 만하다. 또 불평환자의 관리도 여러모로 별도의 공간에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